학술논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 및 직장 내 따돌림이 직무열의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Demand and Ostracism on Job Engagement and Social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주은경 최민혜 김인신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6호, 205~21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요구-자원 모델(JD-R model: job demand-resource model)을 토대로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와 직무열의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열의를 저하시키는 부정적 사회 요인인 직장 내 따돌림의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열의가 자신의 직무뿐만 아니라 역할 외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위 연구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김해 국제공항, 김포 국제공항,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내 항공사 객실 승무원에게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38명을 유효 표본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요구와 직장 내 따돌림은 직무열의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둘째, 객실 승무원의 직무열의는 조직 내 친사회적 행동 및 반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궁극적으로 팀 위주의 소규모 단위로 조직된 객실 승무원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팀 성과를 높이고 조직 내 사회적 융화를 이루기 위해 기업적 차원의 직무요구와 사회적 차원의 직장 내 따돌림의 변수들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the impacts of job demands and workplace ostracism on job engagement of flight attendants , and (2) verify whether or not job engagement of the flight attendants influences pro- and anti-social behavio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hypotheses were derived. The conceptually proposed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238 flight attendants in the three international airpor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1) job demands and workplace ostracism of flight attendants had negative impacts on work engagement, and (2) job engagement of flight attendants had positive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and negative influence on anti-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각된 기술수용과 수용의도의 관계 연구
- 단기선교여행의 관광학적 의의
- 노스텔지아를 통한 지동벽화골목의 보존가치 측정
- 공연예술 선택특성이 비주류 공연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람들은 왜 혼자 여행을 떠나는가
-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FIT의 인식 분석 및 유형화
- 실존적 진정성 추구가 자유여행 및 나홀로여행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 및 직장 내 따돌림이 직무열의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임파워먼트가 카지노에 대한 지역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