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이용수 32
- 영문명
- Tasks and Policy Implications of Endogenous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in Terms of Social Econom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심원섭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6호,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안적 관광발전론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지역적 의미와 그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가 갖는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함의에 초점을 맞추고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경제와 내생적 발전,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고, 해외의 사회적 경제를 통한 내생적 지역발전 사례와 국내의 관광분야 사회적 경제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사회적 경제의 관점에서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적 경제 개념을 토대로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사회적 경제가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위한 중요한 틀이 될 수 있다는 필요성 인식과 이를 위한 제도적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관광이 사회적 경제를 통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내의 자발적 네트워크와 협력적 거버넌스가 형성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 형성과 투명하고 참여 구성원 보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관광혁신인재의 양성과 지역주민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가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틀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지역관광정책에 대한 인식전환,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생태계 구축, 지역사회 및 지역자원 중심의 관광사업모델 개발 및 지원, 제도적 인프라 구축 등이 정책적으로 필요하다.
영문 초록
Social economy has been increasingly understoo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particularly for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by theoretically conceptualizing social economy,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The research analyzes interesting cases in which social economy was used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provide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urism policy. First, based on agreement among stakeholders, a region needs to internalize the value of social economy by increasing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Second, a region needs to form a spontaneous and cooperative network for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Third,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can be achieved using social capital, the fairness of market and distribution. Fourth,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requires strengthening the overall ability of a region by training human resources who have good will and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governmental support that forms regional tourism ecology and that develops alternative tourism business models is a crucial basis for the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경제와 내생적 발전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 및 관광발전 추진 사례
Ⅳ.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
Ⅴ. 정책적 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각된 기술수용과 수용의도의 관계 연구
- 단기선교여행의 관광학적 의의
- 노스텔지아를 통한 지동벽화골목의 보존가치 측정
- 공연예술 선택특성이 비주류 공연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람들은 왜 혼자 여행을 떠나는가
-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FIT의 인식 분석 및 유형화
- 실존적 진정성 추구가 자유여행 및 나홀로여행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 및 직장 내 따돌림이 직무열의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임파워먼트가 카지노에 대한 지역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