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선교여행의 관광학적 의의
이용수 14
- 영문명
- Meaning of Short-term Mission Trips: From a Viewpoint of Tourism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윤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6호, 3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광학에 있어서 단기선교여행이라는 새로운 연구 화두를 제시하고 단기선교여행과 관련하여 연구되어야 할 주제는 무엇인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기선교여행 참여자 수의 급증과 사회문화적인 영향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관광학에서 단기선교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단기선교여행은 종교여행의 한 유형으로 종교여행은 관광산업에서도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교여행의 한 유형으로써의 단기선교여행에 대해서는 개념정의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단기선교여행의 기본적인 연구 주제로써 본 연구에서는 여행 동기, 여행 경험, 또한 지역주민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기선교여행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의 단기선교여행에 관한 연구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통해 관광학에 있어 종교관광의 연구범위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themes concerning short-term mission trips(STM) within the tourism field. In spite of the rapid increase of STM travelers and their influence, STM has not been researched as part of the tourism field. STM can be defined as a type of religious tourism and this form of tourism is an integral part of the tourism field. Also, STM travelers have a strong desire to interact with local residents in order to achieve their purpose of evangelism. This means their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is critical. In addition, interaction between hosts and tourist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ourism scholars. On the contrary, interactions between STMs and local resident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tourism researchers. This study argues that STMs are valuable and warrant study within the tourism field and the study expanded the current knowledge base of STM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is hope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mission trips will lead organizations to provide support and services for mission trips. This will involve managing relationships between travelers and loc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주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각된 기술수용과 수용의도의 관계 연구
- 단기선교여행의 관광학적 의의
- 노스텔지아를 통한 지동벽화골목의 보존가치 측정
- 공연예술 선택특성이 비주류 공연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람들은 왜 혼자 여행을 떠나는가
-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FIT의 인식 분석 및 유형화
- 실존적 진정성 추구가 자유여행 및 나홀로여행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 및 직장 내 따돌림이 직무열의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임파워먼트가 카지노에 대한 지역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