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축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각된 기술수용과 수용의도의 관계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Effects of Perceive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when Using a Festival Social Network Service on Acceptanc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임선아 김창수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6호, 11~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타인과의 관계형성이나 정보 및 지식을 교류하는 주요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능동적인 이용형태는 다양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파급력은 다양한 분야에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축제분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은 미비한 실정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축제정보를 경험한 이용객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축제분야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는 새로운 매체의 이용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Davis(1986)의 기술수용모델을 수용하였으며, 기존 모델이 축제분야의 특성을 다양하게 대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축제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1월 22일부터 2월 13일까지 off-line 조사와 on-line 조사를 실시하여 총 382부의 유효 표본을 획득하였으며,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 11부를 제외한 총 371부(97%)를 연구의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검증 결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각된 기술수용 요인은 축제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와 축제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축제정보를 검색한 방문객들은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지속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의도와 함께 향후 검색한 축제를 직접 방문하거나 타인에게 추천하는 미래행동 의도가 형성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people draw upon a range of communication methods, which vary constantly according to current trends. In recent times,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een used as a primary means of communication to form relationships with others or to ex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s has enabled users to actively choose and use diverse information, creating substantial social change and causing a variety of ripple effects. However,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for festivals leaves much to be desired despite advancements in the new medium. This present study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when a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es festival information and the subsequent acceptance inten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variable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while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new medium were analyz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uggested by Davis (1986).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지각된 기술수용과 수용의도의 관계 연구
- 단기선교여행의 관광학적 의의
- 노스텔지아를 통한 지동벽화골목의 보존가치 측정
- 공연예술 선택특성이 비주류 공연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람들은 왜 혼자 여행을 떠나는가
-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FIT의 인식 분석 및 유형화
- 실존적 진정성 추구가 자유여행 및 나홀로여행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무요구 및 직장 내 따돌림이 직무열의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임파워먼트가 카지노에 대한 지역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