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J. S. 밀의 자율성 개념에서 본 DIY 바이오해킹
이용수 111
- 영문명
- DIY Biohacking through J. S. Mill’s Autonomy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저자명
- 김진선
- 간행물 정보
-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Vol.16 No.1,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바이오해킹(biohakcing)은 DNA 정보가 중심이 된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생명체를 변형하는 활동이다. 그것을 수행하는 이들을 일컬어 바이오해커(bio-hacker)라고 말한다. 바이오 해커 혹은 바이오해킹은 이미 DIY의 개념을 어느 정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그들의 활동 내용에 따라 DIY 바이오해킹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DIY’의 강조에서 나타나듯이, 그 활동에서 변형의 대상은 자기 자신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바 로 이 부분이 DIY 바이오해킹의 윤리적 의미를 검토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DIY 바이오해킹의 윤리적 의의를 살피는 데 있어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자율성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의 자율성 개념은 관계적 자율성(relational automony)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밀에 의하면 자율성은 도덕적 성격의 발달을 보장하는 요소이다. 그것으로 말미암아 개인은 자신의 도덕적 발전과 사회의 발전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DIY 바이오해킹이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그것이 자율성을 보장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iohacking is an activity that transforms existing life by utilizing biometric information centered on DNA information. Those who do this are called bio-hacker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discussion of DIY biohacking. As shown in the emphasis of ‘DIY’,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 of transformation in the activity is his/her self. This is why the ethical implications of DIY biohacking should be examined. For this, I would like to focus on John Stuart Mill’s autonomy. His concept of autonomy can be sai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autonomy. With that, individuals who implements DIY biohacking will be able to promote his/her mor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ogether.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바이오해킹과 DIY 바이오해킹
Ⅲ. J. S. 밀의 자율성
Ⅳ. 자율성 개념을 통해 본 DIY 바이오해킹과 윤리적 허용 가능성
Ⅴ. 나가면서
Conflicts of Interes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intaining Biodiversity: Focused on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and Korea’s Wildlife Act
- 넛지에 근거한 코로나19 잔여백신 예약 시스템 검토 및 정책 제언
- 연명의료중단 등에 관한 환자의 의사(意思) 추정(推定)의 판단기준과 현행법의 문제
- Considering Non-health Factors in Our Moral Judgments on Allocation of Health Care
- 의사조력자살 입법화 추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J. S. 밀의 자율성 개념에서 본 DIY 바이오해킹
-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6 No.1 목차
- 의료 정의와 평등주의
-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본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방안
- 동의 없이 가명화한 개인정보의 사용은 정당한가?
- 정치적 도구로 전락한 한국의 연구윤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음악저작물 사용료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계간 저작권 149호(38권 1호) 목차
- 인공지능(AI)이 합성한 실연 보호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미국)과 실연자 권리(한국) 보호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