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문화 유산관광 맥락에서 현장체험의 기억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n Exploration Study about Memory Formation based on On: site Experience in the Cross: cultural Tourism Context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상삼요 이인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1호, 199~2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유산관광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유산관광지의 현장체험이체험에 대한 기억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종묘와 창경궁을 방문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1차 인터뷰는 2014년 10월 15일부터 2014년 10월 27일까지, 2차 인터뷰는 1차 인터뷰로부터 1개월 후 동일한 인터뷰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되었다. 총 17명의 표본 중 종묘 방문자는 8명, 창경궁 방문자는 9명이었다. 인터뷰는 사전에 준비된 질문에 따라 20~30분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녹음과 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토대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자료의 세부사례, 하위범주, 상위범주, 핵심개념의 순서로 체험된 기억에 대한 탐색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5개 상위범주(감정, 인지, 시간순서, 기억보호, 기억편차), 12개의 하위범주(감정의 유형, 감정의 강도, 스토리, 자아 관련성, 고유성, 신기성, 시작, 마감, 기억강화, 기억파괴 회피, 체험평가 편차, 행동의도 편차)를 도출되었다. 기억의 구성요소로 감정, 인지가 도출되었고, 이들의 기억에 시간순서가 발견되었다. 또한 기억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의식적, 무의식적 기억보호 및 파괴행위를 통해 현장체험 단계에서의 평가 및 행동의도와 회상단계의 장기기억 사이에 편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cross-cultural heritage tourism experience has been proven a significant way to develop sustained heritage tourism and broaden the national image. Also memory of the experience in the recollection st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of tourism experience and future behavior. However, there was little previous research in studying the memory formation under a cross-cultural heritage tourism context. With this limitation,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17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visited two cross-cultural heritage tourism sites.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memory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ime point factors, emotional factors and cognition factor. Furthermore, the tourists actively reinforced their memory by watching their photo album or telling their story to others outside the site. Finally, this study also found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on-site experience and the memory of the experie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피전문점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 브랜드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주의에 따른 관광지 광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기술-조직-환경 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 연구
- 장애인 관광객의 신체적 모습에 따른 여행 사슬 내 관광 서비스 실패 도출
-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정책을 둘러싼 관광개발과 환경보전의 딜레마
-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과 지역주민 간의 상호 인식차이 연구
-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연안 유람선 안전의 서비스 전략화
- 이문화 유산관광 맥락에서 현장체험의 기억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