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정책을 둘러싼 관광개발과 환경보전의 딜레마
이용수 127
- 영문명
- A Dilemma of Tourism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over the Permission Policy of Cable Cars Construction in National Park: Focusing on the Frame Collision of Utilitarianism and Protected Value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심원섭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1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광개발은 늘 개발과 보전의 첨예한 가치갈등의 딜레마 상황에 놓여 있다. 최근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문제는 관광개발가치와 환경보전가치 사이의 프레임 충돌로 인해 발생한 대표적인 딜레마 사례이다. 본 연구는 프레임 이론의 관점에서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정책을 둘러싼 개발주의자들과 환경보전주의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딜레마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찬성론자들의 집합행동 프레임을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주의로, 반대론자들의 대항프레임을 환경보전이라는 어떤 가치와도 교환할 수 없는 보호된 가치로 규정하고 이들의 프레임 시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고, 정책딜레마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는지를 과정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를 주장하는 프레임에 대해 보호된 가치 우선 우선주의자들이 프레임 정렬을 통해 공리주의자들의 프레임에 대해 대항하는 새로운 의미와 이해관계를 가진 대항 프레임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보호된 가치의 문제로 구성해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문제가 국립공원 환경보전이라는 보호된 가치로 재규정함으로써 프레임 확장이 활성화되고, 이를 동조자들의 규합의 논리로 만들어냄으로써 정부를 딜레마 상황으로 몰아갔다. 이 과정에서 공리주의자들은 환경친화적 내지 환경보호를 위한 케이블카 설치라는 새로운 대항 프레임을 형성하고 케이블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공리주의적 입장에서 선 정부와 지자체는 충분한 설명과 공론의 장 없이 조직구성 원리에 반하는 공리주의적 관점에 치우친 정책대응을 초래하면서 딜레마 상황을 증폭시켰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ourism development has always faced the horns of a dilemma between discourse o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The construction of cable car pathways in a national park is the case in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lemma between the developers and the conservers over cable car construction in a national park in terms of frame theory. For this purpose, a frame analys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utilitarianism and protected value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ermission policy of cable car construction in a national park is sugges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t structure but same frame between developers and the conservers was an important cause of the dilemma and unsatisfactory result. Second, the dilemma between the development-oriented coalition(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ervation-oriented coalition(NGOs and civil society) was caused by the government’s inconsistent policy approach style and the frame difference on the permission policy of cable cars construction in a national park.
목차
Ⅰ. 서론
Ⅱ. 정책 딜레마와 프레임 분석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프레임 갈등과 정책 딜레마 사례 분석
Ⅳ.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피전문점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 브랜드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주의에 따른 관광지 광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기술-조직-환경 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 연구
- 장애인 관광객의 신체적 모습에 따른 여행 사슬 내 관광 서비스 실패 도출
-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정책을 둘러싼 관광개발과 환경보전의 딜레마
-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과 지역주민 간의 상호 인식차이 연구
-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연안 유람선 안전의 서비스 전략화
- 이문화 유산관광 맥락에서 현장체험의 기억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