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관광객의 신체적 모습에 따른 여행 사슬 내 관광 서비스 실패 도출
이용수 14
- 영문명
- Identifying Tourism Service Failures in the Travel Chain by the Types of the Disabled Tourists’ Embodiment: An Application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봉구 이유하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1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 관광자들은 여행사슬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인적․비인적 요소들의 서비스 실패에 직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관광자의 신체적 모습 별로 고찰하는 것은 접근가능한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주요 사건 기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관광자들의 신체적 모습 별(예: 지체, 청각, 시각)로 인지하는 서비스 실패요인을 여행사슬 단계에 따라 도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신체적 모습을 가진 장애인 관광자 33명을 대상으로 개별 혹은 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들이 언급한 서비스 실패 사례는 총 93건 이었으며 이는 6개 차원 15개 범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서비스 실패 사례는 여행사슬 상 현지 경험 단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었으며, 관광 환경의 구조적 여건, 종사자들과의 상호작용, 상품/서비스 여건 순으로 많이 언급되었다. 셋째, 각각의 신체적 모습에 따라 여행사슬 단계 별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된 서비스 실패 차원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ourists with disabilities would have a high propensity of confronting service failures of human and non-human elements provided along the travel chai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o extract service failures perceived by disabled tourists across the chain from the point of view of disabled tourists’ embodiment conditions and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them. Data were collected via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from 33 disabled tourists with diverse embodiment conditions. The Result revealed that 93 service failure cases mentioned by the informants could be grouped into six dimensions and 15 categories. Frequently mentioned service failures were associated with the ‘on-site experience’ stage.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tourism environment, interactions with employees, and conditions of tourism products/services were the most busily mentioned dimensions. In addition different service failure dimensions were frequently mentioned by differently embodied touri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피전문점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 브랜드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주의에 따른 관광지 광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기술-조직-환경 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 연구
- 장애인 관광객의 신체적 모습에 따른 여행 사슬 내 관광 서비스 실패 도출
-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허용정책을 둘러싼 관광개발과 환경보전의 딜레마
-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과 지역주민 간의 상호 인식차이 연구
- 치유프로그램의 웰니스적 가치가 치유프로그램 만족, 충성도,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연안 유람선 안전의 서비스 전략화
- 이문화 유산관광 맥락에서 현장체험의 기억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