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체주의 공간을 위한 웨이파인딩 시스템 제안
이용수 16
- 영문명
- Proposal of a wayfinding system for a deconstructivist space: Focusing o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sig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영찬 (Kim, Young Chan) 이강준 (Lee, Kang J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22 부경대학교 초청 디자인 학술대회 및 세미나, 47~50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ongdaemun Design Plaza is a landmark of Seoul and a world-class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Unlike modernist architecture,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cannot clearly grasp its structure and location according to one central principle. This is why DDP’s signature system based on modernism does not function in DDP.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more systematically rearrange the sign system that borrows only the modernist style. That is, information to be guided should be distribut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uide sign. In addition, the sign at the subway exit in front of Oullim Square should be replaced with an interactive 3D map instead of the current 2D printed perspective and floor plans. Additionally, the exit of each floor should be classified into 12 colors according to 360-degree azimuth, and the movement path should be marked with colored lines, etc.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o change the guide strategy so that the general direction can be grasped rather than searching for a specific pla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