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동포마을 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Directional study for revitalization of Andongpo village Tourism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점선 (Kim, Jum Sun) 반영환 (Pan, Young Hwa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22 부경대학교 초청 디자인 학술대회 및 세미나, 39~4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is important not to choose one betwee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the present development, but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traditional village can be continuously preserved and inherited through the fusion of the two. Considering the economic factors that can be utilized by the traditional village, it was decid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make it a tourist destination. The opinions of residents living i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the opinions of tourists visiting the traditional village were surveyed, and based on this, a study was conducted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village. Hemp and hemp were selected as elements to improve as a tourist destination. First, hemp is cultivated inside the village to increase the visual effect and create a space for rest. Second, we develop food and experiences using hemp seeds and hemp oil by harvesting hemp seeds. Third, 3D images are used so that the experiencer can experience the loom at any time. These will help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village as a tourist destin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