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비평이론학회가 걸어온 길
이용수 103
- 영문명
- Critical Theory and a New Ethics of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여건종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7권 3호, 207~2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비평이론학회 3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글을 논문으로 확장하고 수정 보완한 것입니다. 이 글은 비평이론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는 이 시점에서 “왜 이론인가?”, “문학연구에서 이론의 전환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문학연구 제도 안에서의 이론 연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의 질문에 관한 한 성찰로 쓰여진 것입니다. 지난 30년간의 과정을 두운을 맞추어 도식화하자면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포스트모더니티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포착하고 분석하고, 포스트페미니즘, 포스트맑시즘, 포스트식민주의의 새로운 관점들로 발전되고,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미디어, 포스트트루쓰의 주제들로 확장되고 종국에는 스스로를 해체하는 포스트 이론(post-theory)의 문제 의식으로 귀결되고 있다고 요약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포스트라는 접두어가 가리키는 것은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반성과 해체의 자세 혹은 정신이라면, 이론의 가치도 그에 따른 실천의 지향점도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비평/이론이라는 학문적 제도가 그동안 외면했던 이야기의 기능의 새로운 의미를 공감의 인문학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 민주 사회의 시민의 능력을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영문 초록
Current crisis of the humanities is closely involved with hyper-institution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academic critical discourse and the humanities education. We have narrowed down humanities education to the point where it no longer provides the enhanced capacity for civic engage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crisis of the humanities, this article proposes a new ethics of narrative. According to Martha Nussbaum, narrative imagination is a capacity to enter into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lives of the others. New ethics of narrative emphasizes the vital role of narrative imagination in cultivating the powers of judgment and sensibility of a mature and responsible person, by exploring how the ability to be a sympathetic reader of another person’s story can be a basic qualification of democratic and cultivated citizen. This ability contributes to moral development of a citizen by fostering the capacity to understand people who may act from very different motives, identities and experiences.
목차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니힐리즘과 초객체 사이에서
- 신경정신분석의 이론적 기초 I
- Aesthetics of Nonduality: Genuine Transcendence, the Imperceptible Other, and Joker
- 한국비평이론학회가 걸어온 길
- <비 오는 날의 오후 세 시>(1959) 속 멜로드라마 미학과 윤리
- 공거의 생태
- 서구 현대 공동체론
- 비평과 이론 제27권 3호 목차
- 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 난민이라는 장소
- “Impersonality” in Shakespeare’s Hamletand Its Modern Adaptation in BBC Hamlet
- 빅데이터 시대의 비평이론
- “A Dead Silence” of Slavery in Patricia Rozema’s Mansfield Park
- 한국비평이론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며
- 이론의 영혼
- Poetic Inspiration and Philosophical Self-Discipline: Metapoetic Allusions in Keats’s Hyper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