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이용수 267

영문명
Is Mythos Myth, and Logos Reason? : The Rise and Fall of Mytho-Logos in the 20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권석우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7권 3호,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본고와는 다른 글(2020)에서 뮈토스와 로고스의 어원을 추적하는 가운데, 로고스를 선호하는 플라톤의 철학적 글쓰기에서 뮈토스적 요소가 사용되고 있어 뮈토스-로고스가 서로를 보완하고 배태하는 우로보로스 혹은 대위법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서양의 로고스의 의미가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이성 혹은 진리로 변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가운데 한자문화권의 “理性”으로 번역되는 연유를 밝힌 연후, 글의 중반부에서는 서양의 역사가 “뮈토스에서 로고스로” 변화 혹은 치환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논구하였다. 로고스는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뮈토스가 되어 “뮈토스”라는 신화체계 혹은 담론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로고스가 공전절후의 권위를 띠고 서양철학, 특히 칸트와 헤겔 철학의 뼈대를 형성하며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성서, 특히 요한복음이 이를 하느님의 말씀 혹은 그리스도 자신의 의미로 새긴 것에 일정 부분 기인한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인류는 이성이 함의했던 합리성과 논리, 그리고 인간성을 유실한 채 이성이 비이성과 광기로 변질되고 있음을 목도하였다. 아우슈비츠는 이성이 반이성, 계몽이 무지몽매, 휴머니즘이 반휴머니즘임을 일깨우는 풍향계였다. 이성의 반이성적, 반계몽적, 허구적 성격을 인지하고 비판하는 것 또한 이성의 본유 기능이라는 사실은 특별히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으로 개화되기에 이르렀다. 그의 비판이성적 사유에서 신화는 일종의 계몽이었고 이성 또한 일종의 신화가 되었으니, 신화와 이성은 길항작용을 통하여 끊임없는 상호변증을 여전히 요구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my previous article, “Is Mythos Myth, and Logos Reason: Etymological and Philological Reflections”(2020), I observed the foundation of ancient Greek philosophy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notions of mythos and logos. I argued tha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its initiatory phase took the format of progress “from mythos to logos,” and that this framework holds Homeros and Hesiodos totally different from Socrates and Plato, giving rise to the bifurcation of mythos and logos, and further accounting for the concomitant conceptual differentiation between myth and reason/rationality which has gone around until recently without enough critical assessment. In this article, I seek to argue continuously that misunderstandings come to light when one reaches the conclusion that in the ancient Greek society the words mythos and logos referred respectively to established authoritative speech and emergent reasonable discourse or theory — that neither of them really had anything to do with the fictional properties, or the degree of fictionality, of the messages under considerati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mythos into myth — or for that matter, into its later 19th-century Japanese rendering, “神話,” — may well be held responsible for the prevalent false notion of mythos. In our age when Reason no more seems to be reason, and Enlightenment no more enlightenment, everything strikes us as a myth, posing questions as to the real nature, or even the adequacy, of the mythos-logos dichotomy. Horkheimer and Adorno did this kind of job while questioning and emphasizing the need of both in the fascist Germany where logos-reason proved to be nothing but a madness.

목차

Ⅰ. 서론
Ⅱ. 로고스 의미의 변화: 이야기 혹은 말에서 이성으로
Ⅲ. 서양담론의 역사는 뮈토스에서 로고스로 흐르지 않았다.
Ⅳ. 글을 나가며 - 로고스적 이성의 쇠락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석우. (2022).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비평과 이론, 27 (3), 35-65

MLA

권석우. "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비평과 이론, 27.3(2022):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