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전개과정

이용수 46

영문명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eongnamrumunda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정석태(Jung, Suk-Tae)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63輯, 183~261쪽, 전체 7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12,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嶺南樓 題詠詩文의 작자들은 嶺南寺의 竹樓였던 고려전기부터 密陽府 객사 누각이던 조선조를 거쳐 해방 전후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영남루라는 단일한 공간에서, 영남루라는 단일한 소재 또는 제재를 가지고 작품창작을 계속해왔다. 특히 작자의 역량과 시기별 분포 및 산출된 작품량과 작품수준을 고려할 때, 영남루를 하나의 文壇으로 상정해볼 수 있다. 고려전기에서부터 해방 전후까지 존속하고, 관료문인들에서부터 일반문인들에 이르기까지, 나아가 우리나라 문인들뿐만 아니라 일본문인들까지를 아우르는, 그래서 시간적으로는 전대의 대내외 인사들과 긴밀하게 연계되고 공간적으로는 당대의 국내외 인사들과도 끊임없이 관계하는 嶺南樓文壇이라고 일컬어봄직한 문단을 상정해볼 수 있다. 나아가 조선중기에는 임진왜란 이전까지 그 문단에서 활동한 작가 259인의 작품 570편을 모은 嶺南樓題詠文集 『嶺南樓詩韻』을 낳을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영남루문단에서 창작되는 작품은 한시가 중심이 되어 있다. 더구나 그 한시는 전통시대 누정 제영 한시작품의 전형적인 전개방식, 누정과 그 경관을 作品意境으로 구현해내는데 집중하는 두 기본 운자인 하늘 天자를 포함하는 下平聲 先자운 계열 글자와 누각 樓자를 포함하는 같은 하평성 尤자운 계열 글자를 운자를 사용하는 두 유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한시작품 창작에서 이렇게 고정된 운자를 사용할 경우 이미 창작된 작품들의 강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전대 작품의 집적정도에 비례해서 새로운 작품창작에 굉장한 제약이 가해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이 도리어 작자들의 창작 의욕이나 경쟁 심리를 더욱 고취해서 치열한 창작의 공간, 교류와 경쟁의 공간으로서 영남루문단을 형성하며 많은 작품을 산출하였다. 次韻만이 아니라 用韻과 和韻도 상당히 자유롭게 운용하고, 또 작자계층의 확대와 작품의경의 개척 등 끊임없는 변화의 노력을 통해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면서 많은 작품을 산출하였다. 이처럼 영남루는 조선전기부터 이미 문단을 형성할 정도로 한시창작이 치열하고 또 활발했던, 그래서 詩樓로서 명성이 높았던 조선 제일의 누각이었다. 그 명성은 중국까지 알려져서 明나라 王圻와 그 아들 王思義가 천하의 명승지와 누정을 소개하기 위해 엮은 『三才圖會』에도 강원도 襄陽의 祥雲亭과 함께 소개되어 있다. 영남루가 이 책에 오르게 된 것은 그 제영 한시작품이 중국과 우리나라를 통틀어 전통시대 누정 제영 한시작품의 전형적인 전개방식에 충실했던 유일한 누각, 다시 말하면 시루로서 명성이 일찍부터 중국까지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uthors of Yeongnamru poetry have been working with a single material or material called Yeongnamru in a single space called Yeongnamru fo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rincipal temple of Yeongnamsa, through the Joseon Dynasty, an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author's competence and distribution by period, the amount of work produced and the level of work, Miryangbu Guesthouse Pavilion can be considered as a literary masterpiece. It survived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to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it encompasses from the literati to the literati, and furthermore, not only Korean writers but also Japanese writers. We can imagine a paragraph worthy of being called Yeongnamrumundan, which is also constantly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figures in Korea. Furthermore, during the mid-Joseon period, it was active enough to give birth to Yeongnamru anthology Yeongnamrusiyun, a collection of 570 works by 259 writers who were active in the literary circles before the Imjin War. The works created by Yeongnamrumundan are centered on Chinese poetry. Moreover, the Chinese poem is a typical development method of Nujeong Jeyeong Korean poetry works in the traditional era, and the same 下平聲 including the 下平聲 先zaun character including the celestial character and the pavilion 樓 character, which are two basic rhymes that focus on realizing the nujeong and its landscape through craftsmanship. It was developed focusing on two types of characters using the 尤jaun series of characters. It is a stark reality that if you use this fixed rhyme in the creation of one poem, you will be subject to strong restrictions on the work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It is a stark reality that if you use this fixed rhyme in the creation of one poem, you will be subject to strong restrictions on the work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In proportion to the accumulation of previous works, great restrictions were placed on the creation of new works. However, these restrictions on the contrary inspired the writers' creative will and competitive spirit, forming the Yeongnamrumundan as a space for fierce creation, exchange and competition, and produced many works. Not only 次韻, but also 用韻 and 和韻 were operated quite freely, and many works were produced by overcoming them through ceaseless efforts to change, such as expanding the artist class and pioneering the scope of works. In this way, Yeongnamru was the best pavilion in Joseon, which had a high reputation as a Siru, because the creation of poetry was fierce and active to the extent that it had already formed a literary circl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ts fame is known even in China, and it is also introduced along with Sangunjeong in Yangyang, Gangwon-do, in Samjaedohoe, compiled by the Ming Dynasty Wanggi and his son Wangsaeui to introduce the scenic spots and nujeong under the heavens.

목차

1. 서론
2. 영남루 제영시문의 작품개황과 창작현장
3. 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제영시문의 전개과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석태(Jung, Suk-Tae). (2022).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전개과정. 동양한문학연구, (), 183-261

MLA

정석태(Jung, Suk-Tae). "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전개과정." 동양한문학연구, (2022): 183-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