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149

영문명
Analysis of Agricultural Trade Effects between Korea and Major Countries using the Gravity Model: Focusing on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발행기관
한국통상정보학회
저자명
조성제(Sung-Je Cho)
간행물 정보
『통상정보연구』제24권 제3호, 337~35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농업은 1차 산업에서 벗어나 6차 산업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1995년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식품 수출은 예외 없는 시장개방을 통한 무역자유화의 대상으로 변화하면서 농식품은 국제교역대상이 되었다. 이를 통해 각국은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수출전략 및 지원방안이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국내 잉여 농산물에 대한 판매 대안에서 출발하였지만 오늘날 국가경제에 적지만 의미 있는 성장을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최근 코로나-19이후 국가 간 이동제한과 세계경제의 소비감소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농식품에 대한 해외수요 증가는 향후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농식품 수출은 이제 단순한 국내 잉여상품의 처리방식이 아닌 수출경쟁력 강화를 도입한 새로운 수출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함으로써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국인 일본, 중국, 미국을 대상으로 한 농식품 수출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수출의 경제적 효과를 중력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다루어진 수출결정요인인 국민총생산, 1인당 국민총생산, 환율, 교민 수, 거리 이외에도 물류성과지수와 통관지수 등 외적 수출지원시스템의 효율성을 변수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환율과 거리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물류성과지수와 통관지수 즉 물류와 통관 부문의 효율성이 수출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recent restrictions on movement between countries and a decrease in consumption of the global economy after COVID-19, the increase in overseas demand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s considered necessary to enhance Korea's agricultural exports in the future. Agricultural exports should now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by establishing and promoting a new export strategy that introduces strengthening export competitiveness, not just a method of handling domestic surplus products. Under this environment, this study derived the determinants of agri-food exports targeting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major countries in Korea's agri-food exports, and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of exports by applying a gravity equation model. Especially traditionally addressed export decisionsIn addition to gross national product, gross national product per capita, exchange rate, number of Koreans, and distance, the efficiency of external export support systems such as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customs clearance index was analyzed by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change rate and distance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customs clearance index, that is, the efficiency of the logistics and customs sectors, were important factors in enhancing the export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설정 및 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제(Sung-Je Cho). (2022).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통상정보연구, 24 (3), 337-353

MLA

조성제(Sung-Je Cho).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통상정보연구, 24.3(2022): 337-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