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96
- 영문명
- A Study on China's Sustainable Foreign Trade Development Pla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용영기(Yong-Qi Long) 이서영(Seo-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4권 제3호, 105~1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국제경쟁패턴을 가져오면서 중국의 대외무역은 무역환경, 무역구조 그리고 무역형식의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중국의 대외무역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대외무역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역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중국은 지식재산 보호 추진과 과학기술 인재 육성 등을 통해 혁신시스템을 최적화하여 무역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무역구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국은 디지털 무역구조를 최적화하고 서비스 무역의 디지털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무역형태의 변화에 대응하여 중국은 안전한 무역플랫폼의 구축, 인적자본의 투자확대 그리고 세계적 네트워킹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new international competition patterns, China's foreign trade was faced with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trade structure, and trad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stainable foreign trade development plan for China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China's foreign trade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ed the following foreign trade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is. Firs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China should strengthen its trade competitiveness by optimizing its innovation system by promoting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foster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alents. Second,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rade structure, China should optimize its digital trade structure and promote the digitization of service trade. Third, in response to changes in trade patterns, China needs to build a safe trade platform, expan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build a global networking eco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산업구조와 대외무역 현황
Ⅲ.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외무역의 변화
Ⅳ.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대외무역 발전방안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화물에 관한 송하인의 묵시적 담보와 통지의무
- CPTPP 누적규정 활용 가능성
- 무역원활화가 중국의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PTPP 발효에 따른 한국의 무역전환효과 분석
-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 연구
- 중고의류 무역 연결망 분석과 시사점
- 우리나라 수출 중력모형의 인공신경망 분석과 변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인코텀즈 상 정형거래조건 변경으로 인한 수출입성과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에 기반한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연구
-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 최선노력조항에 관한 법적 고찰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국제무역에서 중간재는 소비재보다 물리적 거리에 더 민감한가?
- 우리나라 주력수출산업에 미치는 투자유형별 영향에 관한 연구
-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3호 목차
-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