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to Enhance the Role of the Society for Trad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유광현(Kwang-Hyun Yu) 방성철(Sung-Chul Bang)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4권 제3호, 291~3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접목한 무역은 전통적 무역에서 디지털무역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켜 교역 상품과 교역 방식 등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무역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체된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를 빠른 시간 내에 2조 달러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무역으로의 전환,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서비스무역 확대 등 국내 무역환경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세계 무역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역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점에서 국내외 무역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에 대응할 수 있는 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금의 무역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무역인력과 필요역량에 대해 재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데 있어 무역 관련 학회들의 역할 제고의 필요성과 함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rade combin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I, big data, and blockchain is undergoing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rade to digital trade. In particular, COVID-19 has further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sulting in many changes in trade products and trade methods.
It is not easy to achieve 2 trillion dollars in Korea's trade scale, which has been stagnant in the midst of such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urture trade manpower who can preemp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global trade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ition to digital trade and the expansion of service trade for high added value of export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nurture trade manpower who can recognize not only trade practices based on trade knowledge, but also ideas and innovative technologie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reate overseas markets through network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new paradigm of trade practice education for nurturing trade manpower who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trade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t the present time. To this end, we intend to redefine the trade manpower and necessary competenc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current trade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concrete measures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role of trade-related societies in seeking a new paradigm for trade practi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무역환경 및 무역인력의 필요역량 변화
Ⅲ. 무역인력 양성 현황 및 수급 전망
Ⅳ.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화물에 관한 송하인의 묵시적 담보와 통지의무
- CPTPP 누적규정 활용 가능성
- 무역원활화가 중국의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PTPP 발효에 따른 한국의 무역전환효과 분석
-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 연구
- 중고의류 무역 연결망 분석과 시사점
- 우리나라 수출 중력모형의 인공신경망 분석과 변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인코텀즈 상 정형거래조건 변경으로 인한 수출입성과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에 기반한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연구
-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 최선노력조항에 관한 법적 고찰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국제무역에서 중간재는 소비재보다 물리적 거리에 더 민감한가?
- 우리나라 주력수출산업에 미치는 투자유형별 영향에 관한 연구
-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3호 목차
-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