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FDI and Technology Export: From Korea to Vietnam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백은영(Eunyoung Baek)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4권 제3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 1위이자 기술무역수지 흑자 1위 국가인 베트남을 대상으로 한·베트남간 세부산업별 기술무역경쟁력을 분석한다. 또한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시 투자유형별, 투자목적에 따라 기술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도구로는 세부산업별 기술경쟁력 분석에서는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고 유형별·목적별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간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무역특화지수(TSI) 분석 결과, 세부산업별로 살펴본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기술경쟁력은 전산업에 걸쳐 기술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의류, 장신구, 모피제품 산업의 기술경쟁력은 매년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반도체 산업 등 첨단산업에 기반이 되는 소재산업(비금속광물제품, 1차금속)에서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회귀분석 결과,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가 합작투자 형태일 때, 한국의 기술수출이 증가하였으며 한국기업이 베트남 시장 진출시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투자할때 기술수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의 對베트남에 대한 세부산업별로 강한 기술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특정 산업(의류산업 일부, 소재산업 등)에서는 기술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의 목적과 유형에 따라 국내 기술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Korea's technology trade competitiveness with Vietnam, Korea's No. 1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No.1 technology trade surplus country.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impact on technology exports according to the type of investment and the purpose of investment in Vietnam when making foreign direct investments.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specific industri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echnology exports by its type and purpose.
Firstly,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reveals that Korea's technology competitiveness with Vietnam was high across all industry sectors. Still,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apparel, accessories, and fur industries is weakening every year.
Also, Korea'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ith Vietnam continues to decline in non-metallic minerals and basic etals from the material industry, which is the basis for high-tech sectors such as the semiconductor industry. On the other hand,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technology exports from Korea have increased in the form of joint investment and decreased when Korean companies invested with the aim of cost reduction when entering the Vietnamese market.
This study identifies Korea's strong technology competitiveness with Vietnam in each specific industry, but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ing in some industries like apparel and material industrie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impact on domestic technology exports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typ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Vietnam. It affects Korea's technology exports according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한국 기술무역 현황
Ⅳ. 실증분석 도구
Ⅴ. 실증분석 결과
ⅤI.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화물에 관한 송하인의 묵시적 담보와 통지의무
- CPTPP 누적규정 활용 가능성
- 무역원활화가 중국의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PTPP 발효에 따른 한국의 무역전환효과 분석
-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 연구
- 중고의류 무역 연결망 분석과 시사점
- 우리나라 수출 중력모형의 인공신경망 분석과 변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인코텀즈 상 정형거래조건 변경으로 인한 수출입성과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에 기반한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연구
-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 최선노력조항에 관한 법적 고찰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국제무역에서 중간재는 소비재보다 물리적 거리에 더 민감한가?
- 우리나라 주력수출산업에 미치는 투자유형별 영향에 관한 연구
-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3호 목차
-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