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역원활화가 중국의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China’s Bilateral Trade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주선(Xuan Zhou) 최창환(Chang Hwan Choi)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4권 제3호, 123~1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체계적인 무역원활화 측정체계를 구축하고, 중국과의 무역상위 38개 국가의 무역원활화 수준을 근거로 무역원활화 수준 향상이 중국과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무역원활화 수준 향상은 중국의 전반적인 무역량 증가와 수입액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항만 효율, 세관 환경, 규칙 환경, 전자 상거래는 모두 중국의 무역 총액과 수입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 항만 효율과 전자상거래는 중국의 양자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 국가의 무역원활화 지수 상승이 중국의 교역량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교역확대를 위해서는 중국은 중저소득국가들의 무역원활화 증대에 지속적인 지원과 적극적 자유무역협정체결 등 대외협력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a systematic trade facilitation measurement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evel of trade facilitation on trade with China based on the level of trade facilitation in the top 38 countries with China.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trade facili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China's overall trade volume and increasing imports. In detail, port efficiency, customs environment, rule environment, and e-commerce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na's total trade and import, and among them, port efficiency and e-commerce have the greatest effect on China's bilateral trade. By region, it was found that the rise in the trade facilitation index of Asian countries had the greatest effect on China's increase in trade volume.
In order to continue to expand trade, China needs foreign cooperation policies such as continuous support and active free trade agreements to increase trade facilitation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무역원활화 수준의 측정 및 분석
Ⅳ. 중국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화물에 관한 송하인의 묵시적 담보와 통지의무
- CPTPP 누적규정 활용 가능성
- 무역원활화가 중국의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PTPP 발효에 따른 한국의 무역전환효과 분석
-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지속가능한 대외무역 발전방안 연구
- 중고의류 무역 연결망 분석과 시사점
- 우리나라 수출 중력모형의 인공신경망 분석과 변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인코텀즈 상 정형거래조건 변경으로 인한 수출입성과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에 기반한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연구
-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 최선노력조항에 관한 법적 고찰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국제무역에서 중간재는 소비재보다 물리적 거리에 더 민감한가?
- 우리나라 주력수출산업에 미치는 투자유형별 영향에 관한 연구
-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3호 목차
-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간의 농식품 교역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