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廣藝舟雙楫』 「綴法」 運筆의 效用論 考察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the Utility Theory of Unpil Introduced on the 「Yùnbǐ」 Chapter of 『Guǎngyìzhōushuāngjí』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동협(Kim, Dong-hyeop)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72輯, 213~2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淸代의 康有爲(1858~1927)가 書法에 관하여 논리적으로 記述한 『廣藝舟雙楫』 제21 「綴法」에서 運筆의 效用論을 考察한 것이다. 서예는 문자를 대상으로 筆法을 내재한 운필을 통해 표현하는 예술이다. 필법은 글자의 점과 획을 표현할 때 붓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단순히 먹물을 바르고 붓을 다루는 방법을 논한 것이 아니라 글씨 속에서 미묘하게 끊이지 않는 변화를 추구하고 서예가의 정신과 풍채를 드러내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서예를 논할 때에는 반드시 모필을 운용하는 運筆에 관해 강구해야 한다. 筆法論의 하나인 運筆法은 指·腕·臂의 상호관계 작용에 따른 이론이 다양하나 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효용을 드러내므로 궁극적 목적은 글씨를 올바르고 아름답게 표현하는 데에 있다. 필법론은 글씨 속에서 반드시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고 서예가의 정신과 풍채를 드러내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것으로, 이는 운필법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글씨에서 표현되는 생동감과 意態는 단지 도구에 구애받을 것은 아니지만 毛筆만이 점과 획의 변화와 생동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까닭에 서예의 미를 탐구 할 때에는 반드시 운필법의 효용에 관해서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강유위는 방필에 있어서 단순히 형체만을 그려내는 것이 아니라 바르고 정연하며 들뜨지 않고 차분한 미감[凝整沈著]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또 원필의 미감을 드러내는 運筆法으로서 궁극적으로는 형태적으로 자연스럽고 대범하며 筆意적으로 초탈하고 속되지 않은 미감[蕭散超逸]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방필과 원필의 대대적 관계의 효용론을 주장하여 “방필은 해서를 쓰는데 편리하고, 원필은 행서와 초서를 쓰는데 편리하나 해서에 원필이 없으면 자유분방한 정취가 없고, 행서와 초서에 방필이 없으면 힘찬 변화가 없으니 더욱이 서로 어울려 써야 한다.”라고 하여 방필과 원필을 병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필법이 표면적으로 美를 표현하는 형식이라 하더라도 그 형식 속에는 이론적 성찰이 담겨있다. 형식 속에 이치가 있음을 알고 그 이치를 탐구하여 실제에 반영하는 것이 美의 구현이다. 학서 과정에서 서예의 이론적 수업은 서예 작품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운필의 효용론이 서예 교육 및 서예 감상에도 인문학적 가치를 높이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study on the utility theory of Unpil (運筆, a brush use based writing method) introduced on the Chapter 21 「Yùnbǐ (綴法)」 of 『Guǎngyìzhōushuāngjí (廣藝舟雙楫)』 that Kāng Yǒuwéi (1858~ 1927) wrote logically about the calligraphic methods in the era of Qing dynasty. Calligraphy is an art that expresses letters through Pilbeop (筆法, writing rules) based on Unpil, which is the way how to use the brush when you express the dots and lines of the letters. In such utility theory of Unpil, however, he did not simply comment how to apply the ink to the brush and how to deal with the brush. In such theory, he theoretically systemized how the calligraphers could reveal their spirits and dignities pursuing the changes that would not subtly cut off in the letters. When you discuss calligraphy, therefore, you must look into Unpil that deals with the brush use. The rule of Unpil, one of the theories of Pilbeop, is based on various kinds of theories depending on the correlation among zhǐ (指, finger), wàn (腕, hand) and bì (臂, wrist), which, however, show a variety of utilities based on such various kinds of theories. Their ultimate purpose lies, therefore in the expression of the letters correctly and beautifully. The theory of Pilbeop systematically theorizes the ways of showing the spirits and dignities of the calligraphers who must pursue endless changes in the letters. This theory should be, therefore, based on the rule of Unpil. The dynamics and Euitae (意態, the attitude of mind) that the letters show are not only depending on the instruments but it is only brushes that can reveal the changes and dynamics of the dots and lines the best. That is why the use of brushes is crucial in calligraphy. You must, therefore, look into the utilities of the rule of Unpil when you look for the aesthetics of calligraphy. Thus, Kāng Yǒuwéi emphasized that Bangpil (方筆, making squares by brush) must not only draw the shapes but also reveal the aesthetic sense of Ungjeongchimchak (凝整沈着) that looks righteous, well-organized, not too much excited and well-positioned. In order to reveal the aesthetic sense of Wonpil (圓筆, making circles by brush), he emphasized that the Unpil must realize ultimately Sosanchoil (蕭散超逸) that looks natural and bold in terms of form and disinterested and not flesh in terms of Pileui (筆意, intension of brushing). Eventually, he claimed the theory of full-scale ut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Bangpil and Wonpil. “Bangpil is good for Haeseo calligraphic style while Wonpil for Haengseo and Choseo calligraphic styles”, he said, “Haeseo calligraphic style would lose its freewheeling mood without Wonpil while Haengseo and Choseo calligraphic styles lose their powerful changes without Bangpil. Therefore, Bangpil and Wonpil must be used further in combination”. That is, he emphasized that Bangpil and Wonpil must be used in combination. Pilbeop is superficially a form of expressing beauty, which, however, has the theoretical enlightenment. It is the realization of beauty to be aware that there is the reason in the form and reflect such reason into the reality by looking for such reason. The class of calligraphic theories largely influences the values of calligraphic works in the undergraduate courses.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e utility theory of Unpil would enhance the humanistic values in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and appreciation of calligraphy as well.

목차

1. 머리말
2. 運筆의 효용론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협(Kim, Dong-hyeop). (2022).『廣藝舟雙楫』 「綴法」 運筆의 效用論 考察. 대동한문학, (), 213-241

MLA

김동협(Kim, Dong-hyeop). "『廣藝舟雙楫』 「綴法」 運筆의 效用論 考察." 대동한문학, (2022): 213-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