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이용수 184

영문명
Spatial DB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untain Ridges based on Sangyeongpyo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박선영(Seonyoung Park) 최원석(Wonsuk Choi) 손학기(Hakgi So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4권 제2호, 110~131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산경표』는 조선후기의 산과 산줄기에 대해 종합하고 정리한 자료이다. 현재는 여러 판본의 필사본들이 전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판본 중 가장 후대에 제작되었고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조선광문회에서 발행한 『산경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조선광문회에서 발행한 『산경표』를 포함한 8종의 판본을 비교·검토하고, 『산경표』를 구성하고 있는 산줄기와 산 계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였으며, 산줄기의 경로와 지맥의 지점들을 통해 유역권과 사회·역사·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결과는 먼저, 8종의 판본 간에 간맥 체계의 표현 등 크고 작은 차이점들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조선광문회본 『산경표』를 구성하고 있는 15개의 산줄기는 1,586개의 지점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파악하였고, 지점들의 유형은 산지지형 뿐만 아니라 읍치, 진보 등 역사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들이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산경표』에 기재된 산줄기의 경로 및 소속 지점은 조선후기의 취락 행정 체계(邑治)의 분포와 이에 이르는 산줄기의 연결성이 주요하게 고려되었고, 지형적인 유역권이나 산줄기의 우열과 관계없이 사회적 생활권으로서의 역사문화적 특성(읍치, 명산, 명승 등)을 지닌 주요 지점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경로를 우선하여 선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경표』의 족보식 기술 형식을 네트워크 코드 방식으로 현대적으로 재구성하고, HGIS 기법으로 DB를 구축하여 지도화함으로써 전통적 산줄기 체계를 현대화, 과학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한 것에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Sangyeongpyo is a geography book that provides a comprehensive tabulation of mountains and mountain rid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of Korea.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angyeongpyo published by the JosonKwangmunhoe(朝鮮光文會), which is the most recently published and widely used edition among the available editions. Eight different editions of Sangyeongpyo, including the one published by the JosonKwangmunhoe, were compar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A database was constructed for mountain ridges and genealogy of mountains composing Sangyeongpyo, watershed areas, and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were analyzed through the paths of the mountain ridges and the points in the Jimaek there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ight editions, such as in the expression of the major mountain ridge systems. Further, upon examining the Sangyeongpyo edition by JosonKwangmunhoe, we found that 1,586 points constituted 15 mountain ranges. Upon classifying these points into types, we found that there were not only mountain geomorphological types but also plac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such as Eupchi(邑治), Jinbo(鎭堡). Lastly, the paths and points in the mountain ridges described in Sangyeongpyo were selected primarily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s well as the connectivity of the mountains ranges leading to them. Furthermore, regardless of the status of topographic watershed classification or dominance of mountain ridge, the applicable path was selected with a priority for mountain ridges described in Sangyeongpyo when there were major point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social commu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prepar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modern and scientific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mountain ridge system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he genealogical descriptions in Sangyeongpyo into a modern network code method, building a DB, and mapping based on the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목차

1. 머리말
2. 자료와 분석 방법
3. 『산경표』의 엑셀 DB와 공간 DB 구축
4. 유역권과 생활권 중심의 『산경표』 산줄기 선형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영(Seonyoung Park),최원석(Wonsuk Choi),손학기(Hakgi Son). (2022).『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 34 (2), 110-131

MLA

박선영(Seonyoung Park),최원석(Wonsuk Choi),손학기(Hakgi Son). "『산경표』의 공간 DB 구축과 산줄기 선형의 특징 분석." 문화역사지리, 34.2(2022): 110-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