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국도 한성의 풍수적 경관 경영과 풍수 담론의 노정

이용수 140

영문명
Feng Shui Landscape Management of the Capital Hanseong and the Journey of Feng Shui Discours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전종한(Jong Han Jeo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4권 제2호, 51~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에 풍수는 국도(國都) 한성의 입지를 비롯한 도성 안팎의 주요 장소들의 공간 배치 및 경관 경영에 이용되며 전통지리학의 근간을 이루었다. 풍수는 조선 초기부터 국가적 주요 학문 분야로 인식되었고, 과거 제도의 시험 과목 중 하나였으며, 전문 관료가 관직에 등용되었다. 임진왜란 직후 선조는 전란으로 파괴된 한성의 주요 경관복원을 위해 풍수 사상을 이론적 근거로 동원하였다. 하지만 조선후기를 지나면서 주요 관료와 유학자는 물론이고 심지어 임금까지도 풍수 사상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선조와 같이 풍수를 편애한 임금에 대해서는 실록 사관의 거침없는 비판이 있을 정도였다. 특히 영조와 정조 시대에는 풍수의 신뢰성에 대한 의심과 함께 일반 백성들 사이의 풍수적 폐해까지 더해지면서 풍수에 대한 비판적 의론이 보편화되는 전기가 되었다. 조선후기의 풍수는 왕릉 입지와 천릉 등 음택(陰宅)에 관한 술법 수준으로 위축되었다. ‘지리=풍수’의 의미가 컸던 조선전기와 달리, 조선후기에는 정조대왕의 지리책문(地理策問)에 등장하는 용례처럼 ‘풍수적인 것과는 다른 의미의 지리 개념’이 우리나라 전통지리학을 구성하면서 동시대에 공존하였다.

영문 초록

The Feng Shui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formed the basis of traditional geography used for spatial arrangement and landscape management of various landscapes and places including the location of Hanseong, the capital. From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Feng Shui was recognized as a major national academic field by government officials, and was one of the exam subjects of Gwageo (bureaucratic recruitment) system, and professional bureaucrats were appointed to government posts. Immediately after the Imjin War[壬 辰倭亂], King Seonjo mobilized the idea of Feng Shui as a theoretical basis to restore the main landscape elements of Hanseong destroyed by the war. However,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Feng Shui was criticized by many bureaucrats and Confucian scholars, and even the king added it. Even harsh criticism from some official historians followed the king for his excessive favoritism of Feng Shui. In particular,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and Jeongjo, critical opinions on Feng Shui arose greatly.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Feng Shui was greatly reduced to the level of Eumtaek[陰宅風水] in charge of the location or relocation of royal tombs. At the same time, unlike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meaning of ‘geography=Feng Shui’ was strong, in the late Joseon period, ‘geography concept with a meaning different from that of Feng Shui’, like the usage examples in King Jeongjo’s ‘Geography Policy Questions[地理策問]’, certainly existed.

목차

1. 머리말
2. 국도 한성의 풍수적 경관 경영
3. 조정 권력층의 풍수 인식과 풍수 담론의 노정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한(Jong Han Jeon). (2022).조선시대 국도 한성의 풍수적 경관 경영과 풍수 담론의 노정. 문화역사지리, 34 (2), 51-68

MLA

전종한(Jong Han Jeon). "조선시대 국도 한성의 풍수적 경관 경영과 풍수 담론의 노정." 문화역사지리, 34.2(2022): 5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