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분단선과 한반도 DMZ

이용수 82

영문명
The Inner-German Border and the Korean DMZ
발행기관
한국통일전략학회
저자명
김재한(Kim, Chae-Han)
간행물 정보
『통일전략』12권 1호, 9~4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남북한 분단선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위해 동서독 분단선의 등장, 지속, 소멸에 대해 소개한다. 동서독 간의분단선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의 장벽뿐 아니라, 다른 동독지역과서베를린 사이의 경계선, 체코 국경으로부터 발트해에 이르는 긴 경계선, 발트해의 해상 경계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한의 경우, 육상에서는 비무장지대(DMZ)가 남북한 분단선이고, 해상에서는 북방한계선(NLL)이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동서독 분단선과 남북한 분단선의 등장은 공히 냉전의 등장과 그 궤를 같이 한다. 냉전적 세계질서의태동으로 성립되었던 것이다. 동서독 분단선과 남북한 분단선 간에는차이점도 많다. 첫째, 동서독 분단선은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여 전승연합국에 의해 점령되면서 생긴 경계선이었던 반면에, 현재남북한 분단선은 북한의 도발로 시작되어 국제전으로 확대된 전쟁의 쌍방 사이에 설정된 휴전 완충지대이다. 둘째, 분단선 관리에 있어 동서독 분단선이 동독 주민의 서독 행 탈출을 막기 위해 동독 정부가 설치한 접근금지 지대였다면, 남북한 분단선은 휴전을 유지하기 위해 도발억지력으로 채워진 군사대치 지대이다. 셋째, 동서독 분단선은 냉전의종식과 함께 소멸되어 관광과 생태보호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반면에, 남북한 분단선은 관광과 생태의 잠재적 가치만 지닌 채 여전히 견고하게 지속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inner-German border with the inter-Korean border. First, both borders were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Allied powers of World War II divided Germany. The line, at which two blocs of the allied powers confronted each other, became the inner-German border which separated Federal Republic of Germany (FGR) and 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On the other hand, the inter-Korean border is the Demilitarized Zone (DMZ). It is defined by the Armistice Agreement which does not mention its maritime border. NLL is the de facto inter-Korean border in the sea. Second, Germany and Korea had different purposes of fortification in border areas. Obstacles on the inner-German border were installed by GDR for the purpose of deterring East Germans to flee. GDR set up a sort of buffer zone in its own area abutting onto the border. The inter-Korean border, however, was established as a buffer zon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cidents which might lead to a resumption of hostilities. In practice, both sides have violated the Armistice Agreement. Each side executed some hostile act within, from or against the DMZ. According to the agreement at the 4th meeting of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both sides are permitted in the DMZ to be armed only with pistols and rifles, which would not include the automatic type of weapons both sides carry actually within the DMZ. Each side's number of those who enter the DMZ has exceeded 1,000, the maximum number of persons which the Armistice Agreement permits at one time. Third, the inner-German border lasted for 45 years while the inter-Korean border continues to exist for more than 60 years. As the Cold War ended, the inner-German border was opened and the border fortifications were removed. The Berlin Wall is being re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tourism. The inner-German border has been conserved as a part of the European green belt. The inter-Korean border, however, continues to exist eve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wo Koreas should be reunited with keeping the current value of the DMZ which is evaluated positively in many aspe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한(Kim, Chae-Han). (2012).독일 분단선과 한반도 DMZ. 통일전략, 12 (1), 9-44

MLA

김재한(Kim, Chae-Han). "독일 분단선과 한반도 DMZ." 통일전략, 12.1(2012): 9-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