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燕行 送序를 통해 본 19세기 문인의 대청인식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Awareness of Qing of 19th Century Writers foundin Yeon-Heang(燕行) songseo(送序)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1호, 463~4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행 사신으로 선발되어 떠나게 되면, 주변 사람들이 글을 지어주면서 무사히 다녀올 것을 기원하는 전통이 있었다. 燕行 送序로 불리는 일군의 작품은 여러 문집에 산재되어 있으며 연행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연행 송서는 단순히 연행을 가는 상대방에게 잘 다녀오라는 인삿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연행에 대한 시선, 연행의 목적, 중요하게 여겨야 할 점과 주의해야 할 점, 사신으로서 역할과 태도, 개인적인 부탁 등이 들어있다. 더 나아가 중국의 학술과 예술에 대한 저자의 소견이나 청나라 인물과의 만남을 주선해주기도 했다. 본고는 현존하는 연행 송서를 통해 19세기 문인의 對淸認識을 조망해 보았다. 그 결과 세 가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18세기에는 청의 쇠퇴와 멸망이 모종의 기대감이었다면, 19세기에는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외교적 사건으로 대외 상황에 더욱 민감해지면서 실존적인 위기의식으로 변화하게 된다. 아울러 청과 조선이 脣亡齒寒의 관계에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둘째, 對明義理는 연행 송서의 주요 주제로, 19세기 문인들은 그 모순을 인식하면서도 내면화된 인식으로 정착되었고, 오히려 더욱 강력하게 대명의리를 주장하는 사례도 보인다. 그러나 무작정 의리만을 앞세우기보다는 현실적인 국익을 추구할 것을 요구하거나, 현재 남아있는 중국의 모든 것들이 先王이 남긴 제도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하여 매몰된 사고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다양했던 大觀의 대상이 북경이라는 도시 자체에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북경은 아름다운 산천과 궁궐을 갖추고 빼어난 인물들과 온갖 학문과 서적 등이 모여 있다는 이유로, 19세기의 연행 송서에서는 大觀의 대상이 북경으로 집중된다. 또한 훌륭한 淸나라의 인물 자체가 大觀이라는 주장까지 등장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was a tradition of giving texts wishing for the safe travel of Yeonhaeng(燕行) envoys who were selected and departed for the Qing Dynasty. This group of works, which was called Yeonhaeng Songseo (燕行 送序), was actively created until the end of the travel and has been scattered in several collections of works. Yeonhaeng Songseo is not limited to simply greetings to travelers wishing their safe travels. This included a variety of content such as the perspective on travel, the purpose of travel, important considerations, things to be aware of, roles and attitudes as an envoy, and personal requests. Furthermore, the writers expressed their views on Chinese academics and art, or arranged meetings with people from the Qi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Qing(對淸認識) that the writers in the 19th century had an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the decline and destruction of the Qing Dynasty was a kind of expectation in the 18th century, but in the 19th century, it was regarded as an existential crisis due to the ripple effect of the external situation increased resulting from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nd diplomatic events. Some argued that Qing and Joseon had a Relationship between Lips and Teeth (脣亡齒寒). Second, Faith for Ming (對明義理) was one of the main themes of Yeonhaeng Songseo. Although this was recognized as a contradiction by the writers of the 19th century, it was established as an internalized recognition, and many cases are found where the strength of this argument is rather strengthened. They demanded the pursuit of realistic national interests rather than recklessly putting faith in the first place, and by suggesting that all things in China were based on the establishments by former Kings, induced them to escape from the sunken thinking. Third, The subjects of Grand View(大觀), though it had varied in the past,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the city of Beijing itself in the 19th century since this city had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and palaces, and carried outstanding figures and all kinds of academics and books. In addition, some argued even that the very great person of the Qing was the Grand View.

목차

1. 머리말
2. 연행 송서의 전통과 특징
3. 대청인식의 변화 양상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燕行 送序를 통해 본 19세기 문인의 대청인식. 동방한문학, (), 463-494

MLA

. "燕行 送序를 통해 본 19세기 문인의 대청인식." 동방한문학, (2022): 463-4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