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後三國時代의 形勢와 弓王의 稱帝建元

이용수 7

영문명
The Situ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nd Gung-wang(弓王, Gung-ye)’s Chingje-Geonwon(稱帝建元, Calling the monarch the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1호, 141~200쪽, 전체 6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1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상 명멸했던 수많은 인물들 중에 후세인의 주관적 척도에 의해, 망각되었거나 과소평가된 사람이 적지 않다. 별 실질이 없는 인물이 특정 派閥과 현달한 後孫에 의해 과대평가된 사람도 많고, 괄목할만한 업적을 남긴 인물이 관심 밖으로 밀려난 사례도 있다. 필자는 그들 가운데 弓裔를 선택하여 그가 우리 반만년 역사상 중원 皇帝들처럼 최초의 ‘稱帝建元’과 ‘五行立國’을 시행한 영도자였던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지금 와서 ‘稱帝建元’과 ‘五行立國’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중세는 중세의 척도와 가치관으로 접근해야 그 실상이 구명된다. 하물며 칭제건원의 이념은 소멸된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외세에 휘말리지 않고 주체성을 살려 자주독립을 성취하기 위해, 몸에 밴 사대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인식도 그 근저에는 稱帝建元의 經國理念이 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므로 권력쟁탈에서 밀려난 패자에 관한 평가는 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잔인하고 혹독했다. 동아시아의 경우, 夏나라의 桀王과 殷나라의 紂王, 秦나라의 始皇과 조선조의 光海君이 그 대표적 帝王이다. 승자였던 禹王과 武王은 文武兼全에다 도덕심도 갖춘 성인으로 찬양했다. 우리나라에도 이들과 비슷한 사례가 많지만,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인물로 필자는 궁예를 선정하여 본고를 작성했다. 승자였던 王建은 寬仁厚德의 대명사로 묘사되어 있다. 만일 왕건이 궁예의 칭제건원을 계승하여, 皇帝로 군림하면서 발해의 유민과 합세하여 부국강병책을 써서 遼나라에 대항했다면, 당시 無主空山이었던 고구려와 발해의 고토 만주지역의 절반은 수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진실로 고려조의 禑王과 昌王의 성이 王氏가 아니라 辛氏였는지, 진시황의 성이 嬴氏가 아니라 呂氏인지도 의문이다. 승자인 李成桂와 劉邦 등이 易姓革命을 합리화하기 위한 權謀術數로 볼 수는 없는지, 언제까지 이 같은 왜곡을 기정사실로 여겨야 할 것인지. 이제 역사의 진실은 밝혀질 때도 되었다. 궁예의 ‘稱帝’에 대한 기록은 국내 史書에는 일체 없고, 중국 측 簡冊에만 전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諸侯禮樂이 아닌 皇帝禮樂과 稱帝建元의 經國理念으로 국가를 통치했던, 궁예의 經綸을 闡揚하여 우리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鑑戒로 삼고자 한다.

영문 초록

Among the countless figures who had flickered in the history, there were many who have been forgotten or underestimated by posterity’s subjective measure. There are many cases that a person with no substance was overestimated by a certain faction and illustrious descendant, and there are cases that a person who has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has been pushed out of interest. By choosing Gung-ye from among them, I would like to reveal the fact that he was the leader who implemented the first ‘Chingje-Geonwon(稱帝建元, Calling the monarch the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and ‘Ohaeng-ibguk(五行立國, Building a country with the five elements)’, like the emperors of China, in our a 5,000-years-old history. There are many people who wonder why Chingje-Geonwon and Ohaeng- ibguk are important at this belated time, but the medieval world must be approached with medieval values to reveal its reality. Moreover, the spirit of the Chingje-Geonwon has not been extinguished. And even today, in order to achieve independence by having subjectivity without being entangled in foreign powers, there is a perception that we must abandon the flunkeyism that has been entrenched in our body, at its root, there is the administration ideology of Chingje-Geonwon. Since history is the record of winners, the evaluation of losers who were pushed out of the struggle for power was cruel and harsh, regardless of all ages and countries. In the case of East Asia, Geolwang(桀王) from the Xià(夏) Dynasty, Juwang(紂王) from the Yīn(殷) Dynasty, Shihuang(始皇) from the Qín(秦) Dynasty and Gwanghaegun(光海君)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representative kings. The victors, Uwang(禹王) and Muwang(武王), were praised as saints with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and morality. There are many similar cases in Korea, but I selected Gung-ye as a person who must be pointed out and wrote this paper. The victor, Wang-geon, was described as a byword for generosity and eminent virtue. If Wang Geon succeeded Gung-ye’s Chingje-Geonwon, reigned as emperor, joined with the settlers of Balhae, and used the measure to enrich and strengthen a country, to fight against the Liáo(遼) dynasty, it is thought that half of the Manchuria region, which was an ownerless mountain at that time, and which was ancient territory of Goguryeo and Balhae, could have been restored. Indeed,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the surname of the Goryeo Dynasty’s Uwang(禑王) and Changwang(昌王) were Shin(辛) rather than Wang(王), and whether the surname of Qin Shihuang were Yeo(呂) rather than Yeong(嬴). How long should such distortion be considered as a fait accompli? Now is the time for the truth of history to be revealed. The record of Gung-ye’s Chingje(稱帝) is not in any domestic history books, but only in Chinese history books, and what the reason is. By revealing the statecraft of Gung-ye, which governed the country based on the administration ideology of the emperor’s Ye-Ack(禮樂, the Courtesy and the Music) and Chingje-Geonwon, rather than the feudal lords’ Ye-Ack(禮樂), I would like to use it as an lesson for the present and future of our people.

목차

1. 弓王의 再認識
2. 勝者와 敗者가 겪는 榮光과 汚辱
3. 後三國時代의 展開와 弓裔와 甄萱, 王建
4. 史書에 形象된 弓裔의 開國과 挫折
5. 한국 최초 稱帝建元의 영도자 弓王
6. 結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後三國時代의 形勢와 弓王의 稱帝建元. 동방한문학, (), 141-200

MLA

. "後三國時代의 形勢와 弓王의 稱帝建元." 동방한문학, (2022): 14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