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 및 특성 연구

이용수 745

영문명
Service Use Trajectories among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ciarie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신유미(Yumi Shi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2권 3호, 533~55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 차이 및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재가급여, 시설급여(요양시설)이지만, 현실에서는 의료기관인 요양병원이 장기요양시설처럼 이용되는한국의 특수한 상황이 보고되고 있다.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및 이행은 재가급여, 시설급여(요양시설), 요양병원까지 다양한 서비스 형태사이에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행위를 장기적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 개인을 중심으로장기간의 서비스 이용 변화를 추적 관찰하여 장기요양 서비스 간 이용 행위를 연속적이고 총제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연구는 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재가급여와 시설급여만이 아니라 요양병원까지 포함하여,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유형별 차이 및 시간에 따른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DB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배열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은 11개로 유형화되었다. 재가급여 시작 비중이 큰 유형이 9개(78.6%), 시설급여 시작 비중이 큰유형이 1개(16.1%), 요양병원 시작 비중이 큰 유형이 1개(5.4%)로 확인되었고, 처음 이용하기 시작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패턴 유형이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재가에서 시설(요양시설/요양병원)로 이행하는 패턴은 이행 시기가 세분화되어 유형화되었고, 시설에서 재가로이행하는 패턴은 유형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재가에서 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 중 요양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비중과 요양병원으로이행하는 패턴 비중은 2:1로, 재가에서 요양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의 비중이 많았지만 요양병원으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도 적지않았다.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별로 인구학적 특성, 돌봄욕구 특성, 가족돌봄자원 특성, 경제적자원 특성을 비교한 결과, 유형간 자원 격차가 나타났다. 이에 장기요양 서비스 간 합리적 이용 및 지역사회 거주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changes in characteristics by type. By applying the sequence analysis method to the Senior DB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the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were categorized. We tracked the transitions between long-term care in-home benefits,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experienced by the sam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hanges in service use patterns type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11 types. The pattern type of continuing to use the service that has been started occupied the majority. The transition from home to facility(LTCFs/LTCHs) was subdivided into types by the transition period, while the transition from facility to home was not identified as a type. Among the types of transition from home to facility(LTCFs/LTCHs), the proportion of transition to LTCFs and transition to LTCHs was 2:1. While the transition from home to LTCFs accounts for a greater proportion, transitions from home to LTCHs have also been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mpa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re needs, family care resources, and economic resources by typ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 a resource gap was found between the types. Accordingly, policy and practical tasks were proposed for rational use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support for living in the community.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유미(Yumi Shin) . (2022).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 및 특성 연구. 한국노년학, 42 (3), 533-557

MLA

신유미(Yumi Shin) .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 및 특성 연구." 한국노년학, 42.3(2022): 533-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