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실학자 홍중삼의 무과(武科)인식과 무과개혁안 연구

이용수 58

영문명
A Study on Awareness and the Reform of Military Examination by Hong Jung Sam,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한종수(Han, Jong soo)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중앙사론 제55집, 55~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6-17세기 조선의 현실에서 실학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武科 운영 및 폐단을 살펴보고 특히 학계에 잘 알려진 바가 없는 실학자 홍중삼이 제시한 무과를 통한 인재등용방안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동 시기는 양란으로 피폐해진 향촌사회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유학자들의 국가재조론이 대두하고 있던 시기이며, 국가의 「오가통사목」반포 등을 통해 국가의 향촌지배체제가 한층 강화되는 시기였다. 또한 인재 선발을 위한 과거제도 중 무과는 조선후기에 들어서는 千科․ 萬科라 불렸듯이 많은 인원을 뽑았으나, 많은 인원이 관료로 등용되지 못하는 등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이었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 소개하는 실학자 홍중삼은 호서지역인 아산에서현종 14년(1673)에 사마시 합격이후 숙종 32년(1706) 學術로 중앙정계에진출하기 전까지 약 30년 동안 향촌사회에서 거주하면서 향촌사회에서 백성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직접 경험하였고, 인재등용의 방안으로 천거제외에도 科擧試에서 행하는 「明經取士」 ․ 「製述取士」 ․ 「弓馬取人」과 같은 경우에도 각각의 구체적인 「節目」을 제시함으로써 인사제도 개혁을 완성하고자 하고자 하였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필자는 홍중삼이 17세기 당시 무과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더 나아가 그가 제시하고 있는 「무과변통절목」 내용을 무예에 능한 인재보다는 『병서』나 『경서』에 능한 인재 등용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일련의 실학자들 즉, 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 등이 제시한 무과개혁안의 내용과는 달리 또 다른 실학자 홍중삼을 통해 무과에 대한 개혁논의가 존재했다는 내용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홍중삼이 저술한 『향약통변』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재등용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薦擧科」 ․ 「明經科」 ․ 「製述科」 ․ 「武科」 등 4 條 중 17세기를 중심으로 제기된 「무과」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해 발생한폐단을 다른 실학자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그 해소방안으로 제기하고 있는 「武科變通節目」의 내용을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하는 데 필자는 의미를두었다. 이상과 같이 홍중삼은 『鄕約通變』의 저술을 통해 향촌사회의 흐트러진기강을 바로잡는 방안으로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무과제도와 같은 인사제도의 폐단을 개혁안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operation and harms of martial arts recognized by Silhak scholars in the realities of Joseo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o introduce for the first time a method for recruiting talents through martial arts suggested by Silhak scholar Hong, Jung Sam, who is not well known in academia. The 17th century was a time when Confucian scholars came up with the theory of national reconstru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reality of a rural society ravaged by conflicts. Hong, Jung Sam lived in Asan, a Hoseo region, for about 30 years after passing Sama Examination (司馬試) in the 14th year of King Hyeonjong (1673) and before entering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s a scholar in the 32nd year of King Sukjong (1706).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system (薦擧制), as a method of recruiting talents, the personnel system reform by suggesting specific “Regulation” (節目) for each such as Myeonggyeong Chwisa (明經取士), Jesul chwisa (製述取 士), and Gungma Chwiin (弓馬取人), which are conducted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科擧試). wanted to complete. In this paper, Hong Jung Sam examines the perception of radish at the time of the 17th century, and furthermore,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Mugwatongjeolmok」 that he proposes to hire talented people in Byeongseo or Gyeongseo rather than those skilled in martial arts. can be checked. This work is considered to have meaning that, unlike the contents of the no-gwa reform plan presented by a series of Silhak scholars such as Bangye Ryu, Hyung Won, Seong-ho Yi, Ik, Sunam Ahn, Jeong Bok, and Dasan Jeong, Yak Yong,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no-gwa reform within the rural communities. As described above, Hong Jung Sam, through the writing of Hyangyak Tongbyeon 『鄕約通變』,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n governing the country as a way to correct the disordered discipline of rural society, and especially to overcome the evils of the personnel system such as the no task system. It is appreciated in that it contains.

목차

Ⅰ. 서언
Ⅱ. 무과의 운영과 폐단
Ⅲ. 무과제도 개혁안
Ⅳ.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종수(Han, Jong soo). (2022).조선후기 실학자 홍중삼의 무과(武科)인식과 무과개혁안 연구. 중앙사론, 55 (1), 55-82

MLA

한종수(Han, Jong soo). "조선후기 실학자 홍중삼의 무과(武科)인식과 무과개혁안 연구." 중앙사론, 55.1(2022): 5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