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30년대 중반 인천공회당과 조선인 사회의 공론 형성

이용수 123

영문명
Incheon Public Hall and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Korean Society in the 1920s and the mid-1930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정소현(Jeong, So-hyun) 장규식(Chang, Kyu-sik)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중앙사론 제55집, 83~12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1운동 이후 문화통치의 시행으로 집회 결사의 자유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면서 조선인 사회는 각종 단체를 조직하여 전국적으로 집회 활동을전개했다. 조선인 단체들은 극장, 공회당 등의 집회 시설을 활용하여 강연회, 회의, 모금회, 연극,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이에 따라 1920 ∼30년대 내내 극장과 공회당은 사회문제를 토로하고 해결책을 강구할 수있는 조선인 사회의 공론장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1920∼30년대 극장, 공회당이 조선인 공론장으로 활용된 상황이 전국적으로 발생한 보편적인 현상임을 밝히기 위한 지역사례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인천지역의 조선인 집회장으로 활용된 인천공회당(仁川公 會堂)을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 인천의 지역 공론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천공회당은 조선인 마을과 일본인 마을의 경계이자 공공시설 구역에세워지면서 두 민족이 활발하게 지역 현안을 표출하는 공공 집회장으로이용되었다. 1920년대 내내 정치, 문화적 공론장으로 활용되던 인천공회당은 식민권력의 통치 노선 변화에 따라 외형이 점차 축소되었다. 1925년 치안유지법의 시행으로 정치적 집회 활동은 크게 제한되었고, 1931년 우가키 총독의 부임과 함께 공론장의 통제가 강화되어 정치적 공론장 기능을상실했다. 이후 모금행사장으로만 활용되던 공회당은 일본의 군국주의화와 함께 1936년 미나미 조선 총독이 부임하면서 문화적 공론장 기능마저상실했다. 이처럼 식민권력의 감시와 통제로 제한된 공론장으로의 진입은 조선인에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조선인들은 식민권력의 억압에도 우회적 방식의 정치적 의사 표출, 자구책으로서의 모금 활동, 일본인 사회와의 지역 운동 연대를 통해 1920∼30년대 중반 내내 공론장의 행위 주체로서 입지를 굳건히 했다. 따라서 제한된 통로를 비집고 들어가 민족 집회장을 마련하려는 인천 조선인 사회의 노력은 단순히 저항하는 차원이 아닌 자치적 민간 영역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ulture Sovereignt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could have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in part and tried to hold rallies with forming various groups nationally. The Korean groups used assembly facilities including theaters and public halls to ho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conferences, fundraiser, plays, and concerts. Accordingly, theaters and public halls were used as public sphere for Korean society to discuss social problems and devise solutions throughout the 1920s and 1930s. This paper is a regional case study to clarify that the situation in which Korean society used theaters and public halls as public sphere in the 1920s and 1930s was a universal phenomenon nationwide. Specificall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gional public sphere in Inch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Incheon Public Hall, where Korean used as an assembly hall. Incheon Public Hall was built on the borde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illages and in the public facility area. As a result, the two ethnic groups were able to use it as a public assembly hall actively expressing local issues. The appearance of Incheon Public Hall, which were actively used as political and cultural public sphere throughout the 1920s, gradually became smaller due to changes in the way of japanese colonial power. With the enforcement of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n 1925, political assembly activities were greatly restricted on this places, and with the inauguration of Governor-General Ugaki in 1931, the control of the public sphere was strengthened, resulting in the loss of political public sphere function. Since then, the public spheres, which were used only as fundraising venues, had have completely lost their function as cultural public sphere when Governor-General Minami took office in 1936. As such, entering the public sphere limited by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colonial power was never easy for Koreans. Despite the oppression of colonial power, the Korean society solidified its position as a subject of public sphere through indirect expression of political opinions, fundraising activities as self-rescue measures, and solidarity with Japanese society throughout the 1920s and mid-30s. Therefore, the efforts of the Korean society in Incheon of this era to squeezed into the restricted passages and prepare a national assembly hall need to be reevaluated in terms of securing the autonomous private sector rather than simply resistance.

목차

Ⅰ. 머리말
Ⅱ. 인천공회당의 설립과 입지조건
Ⅲ. 공회당의 활용과 조선인 사회
Ⅳ. 공론 표출과 행위 주체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소현(Jeong, So-hyun),장규식(Chang, Kyu-sik). (2022).1920∼30년대 중반 인천공회당과 조선인 사회의 공론 형성. 중앙사론, 55 (1), 83-128

MLA

정소현(Jeong, So-hyun),장규식(Chang, Kyu-sik). "1920∼30년대 중반 인천공회당과 조선인 사회의 공론 형성." 중앙사론, 55.1(2022): 8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