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수학술상]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음절 ‘애’가 선택된 이유에 대한 고찰

이용수 114

영문명
A Study on the Reason why the Syllable ‘ae’ was Chosen in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주인(LEE Ju-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5집, 89~12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묘제례악에서 선왕들의 공덕에 대한 찬양을 직접적으로 노래하는 악장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종묘제례악 악장에서는 가사 외에 음절 ‘애’가 첨가되어 있는데, 왜 하나의 모음 음절인 ‘애’만이 선택되어 종묘제례악 악장에 첨가되었는지 본 논문에서 고찰해 보았다.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가사외에 첨가될 음절이 필요하였다면 가사전달에 방해가 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였을 것이다. 자음은 단어의 의미가 발생할 수 있고, 허밍과 이중모음은 조음상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외하고 악장의 가사에 사용 되지 않은 단모음 2가지 중 음절 ‘에’가 악장의 가사에서 사용되지 않아 첨가되기에 적절하여 보였다. 음절 ‘에’는 음절 ‘애’와 매우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절로 현대 국어에서는 음절 ‘에’와 음절 ‘애’가 통합되었고, 풍안지악에서 음절 ‘애’ 다음에 음절 ‘헤’로 기보된점, 전통음악의 입타령에서 자주 음절 ‘에’가 등장하는 것을 바탕으로 두 음절의 혼동으로 음절 ‘애’가 기보되었을 수 있다는 가설에 따라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한글의 생성원리와 종묘제례악의 보태평과 정대업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무무의 음을 나타내는 정대업에는 음의 음절인 ‘에’를, 문덕의 양을 나타내는 보태평에는 양의 음절인 ‘애’를 선택하는 것이 종묘 제례악이 지니는 의미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진찬계의 음악에는 적합한 음절을 제시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음절 ‘에’는 ‘아, 에, 이, 오, 우’ 5모음 중에 가장 발성하기 힘든 모음이지만 고음 이행시에는 특히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었는데, 종묘제례악 악장에서는 고음으로 이행하는 선율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에’[e] < ‘에’[ɛ] <‘애’[æ] 순으로 개구도와 공명도가 커진다는 것을 모음사각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같은 음절 ‘에’이지만 개구도나 공명도가 더 큰 음절 ‘에[ɛ]’가 종묘제례악 음역에 적합하였고, 엑스레이로 확인해 봤을 때 조음시 혀의 위치가 비교적입 중앙에 있어 다른 음절과의 연결이 좋다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절 ‘애’[æ]는 들을이의 귀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양인 소리의 전달력을 말하는 울림도가 가장 큰 음절이었고, 가창 시에는 음절 ‘에’보다 음절 ‘애’가 더 적합하며, 발성학적으로 다른 모음과 직결도 쉽게 될 수 있고, 두부공명을 얻기에도 매우 좋다는 점이 있었다. 실제 악장에서 가사로 사용되는 ‘애’는 ‘아 + ㅡ + ㅣ’로 나누어 발음하여 가사 외에 첨가 된 음절 ‘애’와 구분되고 있었고, 무엇보다 현대 국어에서는 음절 ‘에’와 음절 ‘애’가 통합되었지만 20세기 초반에는 두 음절이 구분되어 조음하고 있었다는 점은 종묘제례악 악장 악보가 기보될 당시 현행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가사 외에 첨가된 음절 ‘애’는 단순한 착오가 아니라 이유있는 선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kjang, songs that praise for the merits of the previous king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jongmyo jeryeak (court music for royal ancestral rites),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in the current akjang of jongmyo jeryeak , the syllable ‘ae’ is added in addition to the lyrics. This paper examines why only one vowel syllable, ae , was selected and added to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If a syllable to be added other than the lyrics was needed in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a method that would not interfere with the delivery of the lyrics would have been chosen. Since consonants can have meaning in words and humming and diphthongs have difficulties in articulation, it see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dd the syllable e , one of the two short vowels not used in the lyrics of the akjang.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syllable ae , which sounds very similar to the syllable e , may have been notated due to the confusion of the two syllables, based on the facts that the syllable e and the syllable ae are integrated in terms of pronunciation in modern Korean, that the syllable e is transcribed as the syllable ‘he’ , and that the syllable e is frequently occurred iptaryeong (meaningless vocable imitating vocal or instrument’s melody) of traditional music.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ages that the yin syllable e is used in Jeongdaeeop that represents ‘yin’ of mumu (court dance symbolizing knightliness) and the yang syllable ‘e’ is used in Botaepyeong that represents ‘yang’ of mundeok (civilian moral influence) are suitable for the meaning of jongmyo jeryeak , based on the creation principle of hangeul (Korean letters) and the yin-yang theory inherent in Botaepyeong and Jeongdaeeop of jongmyo jeryeak . However, there is a lack that it was not able to present suitable syllables for jinchan’gye music (music involving food offered at royal ancestral rites). The syllable e is the most difficult to pronounce among the five vowels of a, e, i, o, u,’ b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when making a transition to a high note; the melody that makes a transition to high notes was not used much in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ing degree and resonance increase in the order of e [e] < e [ɛ] < ae [æ]. The syllable e [ɛ], which is larger in terms of opening degree and resonance, was suitable for the jongmyo jeryeak range, and when checked by X-rays, it was found th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during articulation was relatively in the center of the mouth, which could serve as an advantage in terms of good connection with other syllables. The syllable ae was the one with the greatest resonance, which refers to the amount of energy that reaches the listener s ear, and is more suitable for singing than the syllable e .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other vowels, and it is also very good for obtaining head resonance. The syllable ae , used as lyrics in the actual akjang , was pronounced by dividing it into a + eu + i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yllable ae added to the lyrics. The fact that the two syllables were articulated separatel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even though they were integrated in modern Korean, indicates that the syllable ae added to the lyrics in addition to the lyrics in the current akjang of jongmyo jeryeak was not a simple mistake but a rational choice when the music score for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was not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종묘제례악 악장 가사 분석
Ⅲ.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음절 ‘애’가 선택된 이유에 대한 고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인(LEE Ju-in). (2022).[우수학술상]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음절 ‘애’가 선택된 이유에 대한 고찰. 국악원논문집, (), 89-125

MLA

이주인(LEE Ju-in). "[우수학술상]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음절 ‘애’가 선택된 이유에 대한 고찰." 국악원논문집, (2022): 89-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