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함동정월의 불협화음 연주 변화 양상과 전승

이용수 19

영문명
The Aspect of Change and the Transmission of Ham Dongjeongwol s Dissonance Performance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추정현(Chu Jeong-Hyu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5집, 493~53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함동정월이 1935년 유성기 음반에 남긴 가야금병창 <세상사>와 가야금산조 <굿거리>, 1970년 이후에 남긴 가야금병창 <편시춘>과 가야금산조 <중중모리>,<진양조>를 채보하여 함동정월의 불협화음 연주 양상을 파악하고 전승 현상을 확인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동정월은 1935년에 남긴 가야금병창 <세상사>에서 불협화음 ‘따흥’(a′,g)과 ‘치당’(e″,d′)을 드물게 연주하였으나, 1971년에 남긴 가야금병창 <편시춘>에서는 불협화음 ‘따흥’(a′,g), ‘치당’(e″,d′), ‘찌동’(d″,e′)을 빈번하게 사용함으로써 음악에 변화를 꾀하였다. 그리고 <세상사>에서 ‘흥’줄 하나만 뜯어 연주하는 형태는 <편시춘>에서 불협화음 ‘따흥’(a′,g) 을 연주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함동정월은 가야금산조 진양조에서 악조가 새롭게 바뀌거나 단락이 시작될 때, 불협화음 ‘따흥’(a′,g)을 연주하거나 ‘청’(d)줄이나 ‘흥’(g)줄과 같이 낮은 음역의 줄 하나만을 사용하여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악조나 단락이 마무리되는 부분에서는 ‘지흥’(g′,g)을 연주함으로써 곡의 이완을 이끌었고, ‘지흥’(g′,g)으로 새로운 악조나 단락을 시작하는 것은 지양하였다. 함동정월이 구사한 불협화음은 한성기, 김종기, 정남희가 남긴 가야금산조 유성기 음반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독특한 연주 형태이다. 따라서 불협화음의 사용은 함동정월만의 독자적인 특징이 아닌 최소한 20세기 전반에서부터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함동정월은 자신만의 명확한 미적 기준을 바탕으로 드물게 연주되던 불협화음의 사용을 확대하였으며, 이러한 연주 방법을 통해 긴장과 이완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전승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는 이와 같은 함동정월의 연주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단락을 시작하는 부분과 마치는 부분을 모두 ‘지흥’(g′,g)으로 연주하고 있다. 이는 함동정월의 연주에서 불협화음 ‘따흥’(a′,g)을 인식하지 못해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 이제는 명인들이 남긴 음악을 면밀히 살펴, 그들의 음악적 미감과 의도를 이해하고, 앞으로 전개될 음악에 녹여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the change of Ham Dongjeongwol s dissonance performance, confirms its transmission phenomenon, and studies its origin, by transcribing her gayageum byeongchang (a performance of playing gayageum along with singing) Sesangsa and gayageum sanjo (improvisational music played by gayageum solo with drum accompaniment) Gutgeori recorded on the gramophone record in 1935 and her gayageum byeongchang Pyeonsichun left after 1970, and her Jungjungmori and Jinyangjo among four gayageum sanjo sound sources. First, Ham Dongjeongwol performed the dissonance ddaheung (a ,g) and chidang (e″,d ) twice each in the gayageum byeongchang Sesangsa left in 1935. There were a total of 21 dissonances including ddaheung (a ,g) 19 times, chidang (e″,d ) once, and jjidong (d″,e ) once played in Pyeonsichun left in 1971. She tried to change the music by using the dissonance when playing his gayageum byeongchang. Second, the dissonance that was located in the first beat in Sesangsa frequently appeared in the first and 9th beat Pyeonsichun and also appeared in the 7th, 3rd, and 10th beat. And the technique of plucking only one string of heung on a gramophone record developed into a form of playing the dissonance ddaheung (a ,g) in the sound source in 1971. Third, Ham Dongjeongwol played the dissonance ddaheung (a′,g) or used a low-pitched string such as a cheong (d) string or a heung (g) string to create a tension when a melodic mode is changed or a paragraph begins in the jinyangjo jangdan of gayageum sanjo. She avoided starting a new paragraph with jiheung (g′,g), which is an octave relationship. However, in the part where the melody or paragraph ends, she played the octave relationship ‘jiheung’ (g ′,g), leading to relaxation of the song. The form of dissonance played by Ham Dongjeongwol was also found in the gramophone records of Han Seong-gi, Kim Jong-gi, and Jeong Nam-Hui; however, it was not a frequent occurrence. By confirming the dissonance in the gayageum sanjo recorded on the gramophone records, it was found that the dissonance played by Ham Dongjeongwol was not her unique characteristic, but was a phenomenon found in other sanjo recordings perform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ince Ham Dongjeongwol had clear aesthetic standards for music, however, she used consonant and dissonant sounds in appropriate situations, and tried to maximize the tension and relaxation of music through these performances. In the gayageum sanjo of the Choi Oksam School , which is currently performed, the beginning and ending parts of the music are all played with ‘jiheung’ (g′,g) without understanding Ham Dongjeongwol’s intention.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dissonant ‘ddaheung’ (a’,g) in Ham Dongjeongwol’s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music left by previous masters and make an effort to integrate their musical aesthetics and intentions into current performanc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Ⅲ. 불협화음 연주의 변화 양상
Ⅳ. 불협화음의 전승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정현(Chu Jeong-Hyun). (2022).함동정월의 불협화음 연주 변화 양상과 전승. 국악원논문집, (), 493-533

MLA

추정현(Chu Jeong-Hyun). "함동정월의 불협화음 연주 변화 양상과 전승." 국악원논문집, (2022): 493-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