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C 후반 거문고 합자보(合字譜)에서 육보(肉譜)로의 주(主)기보법 전환의 음악교육적 함의

이용수 86

영문명
Mus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ain Notation’s Transition from Geomungo Hapjabo to Yukbo in the Late 18 Century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조은숙(Jo Eun-Soo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5집, 456~491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지하듯이 거문고[玄琴]는 15C 이후 식자층의 학금(學琴) 차원에서 정당성과 당위성을 부여받은 악기로 자리매김하여 민간에서 줄곧 애용된다. 이에 따라 거문고 합자보(合字譜)는 성현(成俔, 1439~1504)이 고안하였고, 거문고 육보(肉譜)는 고려조 이래 전해지는 기보법으로 거문고 합자보와 함께 보조적으로 병기되다가 18C 후반 몇몇 악보에서 중심기보법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지나 19C 이후 주된 기보법으로 정착하여 오늘에 이른다. 한편, 기보법은 일정한 약속이나 규칙에 따라 청각 현상인 음악을 기호나 문자 등으로 시각화․상징화하여 전달함으로써 근본적으로 교육적인 측면이 내재한다. 따라서 본고는 거문고 기보법 각각의 본질적인 특징을 교육적 관점으로 조명하여 18C 후반 주요 기보법 전환에 따른 음악교육적 함의를 밝히고자 세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거문고 합자보는 현명(絃名)과 괘(棵)의 순서, 지명(指名), 탄법(彈法) 등의 종합 정보를 각각의 약자와 부호로 일정한 약속 체계를 정하고 모아놓은 형태의 구체적인 기보 체계이며, 학습자 혼자서도 연주법을 쉽게 터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점이 주목된다. 이는 15C 이후 학금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교육 수요층이 증가함에 따라 거문고 스승을 대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스스로 연주법을 터득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 것에 기인한다. 또한, 거문고 합자보는 15C 정립된 이후 18C까지 300여 년간 거문고의 주요 기보법으로써 식자층에서 적극적으로 학습 및 활용되면서 개인과 가문 차원의 교육적 범주를 초월하여 점차 사회 차원의 학금의 도구로 역할 하였으며, 이를 통해 거문고 관련 배경지식이 폭넓게 축적되는 직접적인 통로가 되었다. 둘째, 풍류방은 인격 수양을 위해 개인 차원에서 학금 활동을 실천하던 식자층이 조선 후기 사회 변동으로 인해 신분 을 초월하여 폭넓게 교유하는 장이 되면서 사회 차원의 음악 소통 문화를 선도하는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풍 류방은 전국적으로 확산하여 다수의 음악 향유층을 양산하였고, 이에 따라 거문고 연주법 습득 욕구를 자극하면서 교육 적 수요를 증가시켰다. 특히 풍류방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과정에서 거문고 스승이나 사우(師 友)를 직접 대면하여 연주법을 습득할 기회가 증대하였다. 이러한 대면 학습을 통한 교육 환경적 변화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습적 동기부여와 교육적 만족도가 향상되어 거문고 연주 능력이 발전․심화하는 계기를 마 련하였다. 셋째, 거문고 육보는 현명과 괘의 순서, 지명, 탄법 등의 종합 정보를 1~3자(字)의 한글이나 이두 문자로 일정한 약속 체계를 정하고 간단하게 표기하여 함축적인 의미를 지닌 기보 체계이며, 합자보 정립 이전부터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육보는 악기의 생생한 연주 소리를 목소리로 묘사한 구연(口演) 구음(口音)을 직접적으로 활용한 기보법으로써 생동감과 실제감을 느낄 수 있어 음악을 전달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내재적 가치를 지니며, 대면 학습 환경에서 스승이 직접 구음을 시연하면서 연주법을 전수할 때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거문고 육보는 내재적으로 지닌 교육적 가치와 생명력을 바탕으로 18C 후반 이후 거문고 합자보를 대체하여 주요 기보법으로 전환되었고, 19C를 지나 현시대에 이르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한다.

영문 초록

As is well known, geomun’go [玄琴 hyeon geum ] was established as an instrument that has been given legitimacy and justification at the dimension of hakgeum (學琴 lit. learning geomungo) for the literati since the 15th century, and has been used in the private sector. Geomungo hapjabo (合字譜) was designed by Seong Hyeon (成俔, 1439-1504) while geomungo yukbo (肉譜), a notation method passed down since the Goryeo Dynasty, was used as an auxiliary notation along with geomungo hapjabo and settled as a main notation since the 19th century. The notation fundamentally has an educational aspect by visualizing and symbolizing music that is an auditory phenomenon, into symbols or letters according to certain promises or rules, and delivers it to peopl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ree issues to reveal the mus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ransition of major not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by highlight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ach geomungo notat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First, it is noteworthy that geomungo hapjabo is a specific notation system in which comprehensive information such as string names, order of frets (棵 gwae ), finger names, and fingering techniques (彈法 tanbeop ) is set with each abbreviation and code, and is designed to make it easier for learners to learn how to play alone. This is due to the urgent need to develop tools to learn how to play on their own even in situations where they could not face geomungo teachers as the demand of the learners for education who actively accepted hakgeum activities had increased since the 15th century. In addition, geomungo hapjabo had been actively learned and utilized as the main notation by the literati for 300 years since the 15th century up to 18C, gradually serving as a tool for learning geomungo in social dimension beyond the educational category of individuals and families. Eventually it became a route for widely accumulating geomungo -related background knowledge. Second, pungnyubang (風流房) served as a center for leading the music communication culture at the social level as the literati, who practiced hakgeum activities at the individual level to train personality, had been broadly socializing there beyond class due to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spread nationwide and produced a number of music-enjoying groups, thereby stimulating the desire to learn how to play geomungo and increasing educational demand.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pungnyubang nationwide and various social classes’ participating in it,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play from geomungo teachers or friends by face-to-face increased. Thes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face-to-face learning facilitate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improved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and deepening of geomungo performance skills. Third, geomungo yukbo is a notation system with implications by setting and simply mark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such as string names, order of frets, finger names, and fingering techniques in one to three letters in Korean or idu (吏頭) letters, and has been used historically for a long tim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hapjabo . It directly utilizes gueum (口音 verbal sound) to describe vivid instruments’ sound, which makes you feel a sense of vitality and reality. Therefore, it has intrinsic value as an educational means of delivering music, and its educational effect is maximized when the teacher demonstrates it directly in a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geomungo yukbo was converted into a major notation by replacing geomungo apjabo since the late 18th century based on the inherent educational value and vitality, and has been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until the present era through the 19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15~18C 합자보(合字譜)를 통한 거문고 배경지식 축적
Ⅲ. 조선 후기 풍류방을 통한 대면 학습 기회 확대
Ⅳ. 18C 후반 이후 육보(肉譜)를 통한 교육 방법의 효율성 추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숙(Jo Eun-Sook). (2022).18C 후반 거문고 합자보(合字譜)에서 육보(肉譜)로의 주(主)기보법 전환의 음악교육적 함의. 국악원논문집, (), 456-491

MLA

조은숙(Jo Eun-Sook). "18C 후반 거문고 합자보(合字譜)에서 육보(肉譜)로의 주(主)기보법 전환의 음악교육적 함의." 국악원논문집, (2022): 456-4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