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가능성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Painting Possi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Using Silk Screen Technique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이혜지(Lee, Hye Ji) 오창윤(Oh, Chang Yoon)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7 No.3, 199~21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제주토양자원의 안료화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한 도자 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크스크린 기법(silk screen)은 판화, 인쇄기법 중 하나로 판 재료에 실크가 사용되기 때문에 실크스크린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스크린프린팅(screenprinting) 혹은 세리그래피(serigraphy)로 불리기도 한다. 실크스크린 기법은 대량생산에 용이하며 색채도수에 제약이 없다. 또한 도안의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안료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징의 실크스크린기법은 현재 산업도자에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자채화기법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고 제주의 독특한 토양자원의 적용을 통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걸친 화산활동으로 제주의 토양 약 80%가 화산회토이며 이외에는 비화산회토, 화산쇄설암(화산석), 화산쇄설물(스코리아)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제주 토양은 토색(土色)을 기준으로 크게 암갈색토·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로 구분되며 이 중 암갈색토는 비화산회토, 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는 화산회토로 볼 수 있다. 크기에 따라 화산쇄설암과 화산쇄설물로 구분되는 화산석은 용암의 종류에 따라 띄는 색이 다르며, 화산쇄설물인 스코리아는 철분 함유량이 많아 검은색, 적갈색, 황갈색을 띈다. 실크스크린 기법을 도예작업에 활용해오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예용 안료와 전사지 제작 방식의 새로운 활용에 대하여 고민하던 중 제주의 독특한 지역재료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 생성방식과 시기에 따라 상이한 제주의 다양한 토색을 실크스크린 기법에 활용하여 도예작업에 적용하였을 때 지역 색이 돋보이는 채화 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과 제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토양 자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실크스크린 기법을 통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 도출에 중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과정은 첫째, 연구대상인 실크스크린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제주의 토양의 특성을 고찰하여 다양한 토색의 시료를 선정⦁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1차 분쇄 후 불순물을 걸러내 볼밀(Ball Mill)로 2차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안료화하였다. 둘째, 안료화한 제주토양자원을 백색자기토, 분청토를 이용한 시편을 제작 후 시문하여 발색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편은 초벌 810℃, 재벌 1250℃에서 산화소성 후 발색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고 안료로서 활용 가능한 이상적 시료를 선별하여 도출하였다. 발색 실험 결과, 가장 이상적 결과를 보인 시편은 상천리의 화산석, 선흘리의 스코리아, 김녕리의 비화산회토 시편이었다. 사용소지에 따른 실험결과는 색상 면에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색을 보였으나 시편의 색상이 밝을수록 각 시료의 발색과 특징이 돋보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주토양자원의 도예 채화 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색실험 결과의 이상적 시료를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평면과 입체기물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채화 재료로써 지역 자원의 활용가능성과 도자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using regional resources by presenting the pigmentization and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using silk screen technique. As one of the engraving and printing techniques, the silk screen is called this name as the silk is used as a material of screen. It is also called screenprinting or serigraphy. The silk screen technique is easy for mass production, with no limitation on color tone. It is also possible to freely mix designs, and also to utilize various pigments. Even though the silk screen technique with those characteristics is mostly applied to the current industrial ceramics,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could be presented by utilizing this in a new method. Thus,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applicability of unique soil resources in Jeju. Because of many times of volcanic activities, about 80% of Jeju soil is volcanic ash soil, and its rest soil is composed of non-volcanic ash soil, pyroclastic rock(volcanic stone), and pyroclastic material(scoria). On the basis of soil color, the Jeju soil is largely divided into dark brown soil, very dark brown soil, black soil, and brown forest soil. And the dark brown soil is non-volcanic ash soil while the very dark brown soil, black soil, and brown forest soil could be viewed as volcanic ash soil. According to size, the volcanic stone is divided into pyroclastic rock and pyroclastic material, and its color look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lava. The scoria which is the pyroclastic material has the high content of iron, so it shows black, redd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colors. In the middle of thinking about the new utilization of pigment for ceramics and production method of transfer paper generally used by utiliz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for ceramics work, the researcher learnt about the unique regional material of Jeju. If it is possible to show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when applying such various soil colors of Jeju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 and period of formation to the ceramics work by utiliz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the painting material with remarkable regional character. Thus,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t up silk screen technique and various soil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whole areas of Jeju. Focusing on drawing the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as painting material through silk screen technique,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collected various colored-soil samples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ilk screen technique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oil. After crushing the collected samples, the impurities were filtered out with a strainer. Using a Ball Mill, it was crushed again to be pigmentized. Second, after producing specimens with the pigmentized Jeju soil resources by using the white ceramic soil and Buncheong soil, the color test was conducted. The specimens went through the oxidized firing in 810℃ for the first, and 1250℃ for the secon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color test, the ideal samples were drawn. In the results of color test, the specimens with the most ideal result were volcanic stone from Sangcheon-ri, scoria from Seonheul-ri, and non-volcanic ash soil from Gimnyeong-ri. In th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use, overall, a similar color was shown. When the color of specimen was brighter, the color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were remarkably shown.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was possible to draw the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as a material of ceramics painting. Lastly, this study sought for and presented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and applicability of regional resources as painting material,

목차

개요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제주토양지원의 안료화와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한 채화 가능성 실험
IV. 실험결과 및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지(Lee, Hye Ji),오창윤(Oh, Chang Yoon). (2020).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가능성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7 (3), 199-215

MLA

이혜지(Lee, Hye Ji),오창윤(Oh, Chang Yoon).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가능성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17.3(2020): 199-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