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한 분묘 출토 유개대부토기 연구

이용수 181

영문명
A Study on Mounted Potteries with Lid Excavated from Samhan Tomb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김희령(Kim, HeeRyeong)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5집,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5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세기대를 중심으로 경기, 호서, 영남지역의 분묘에서 확인되는 유개대부토기의 속성을 검토하여 형식 변천 과정과 기원 및 확산 과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유개대부토기는 대각 위 동체부의 형태에 따라 유개대부호, 유개대부발, 유개대부배로 분류하였으며 각 기종별로 유효한 속성을 파악하여 형식을 분류하였다. 유개대부토기와 공반 출토되는 원저 및 평저심발형토기, 철모, 철검을 검토하여 유개대부토기를 5단계로 나누었다. 2세기 전반에 가장 이른 형식인 유개대부호와 유개대부발 1식이 확인되며 2단계는 2세기 후반으로 유개대부호 2식①과, 유개대부발 2식, 3단계는 3세기 전반으로 유개대부호 2식②, ③과유개대부발 3식, 유개대부배 1식, 4단계는 3세기 중반으로 유개대부호 3식②, 유개대부호 4식, 유개대부발 4식, 유개대부배 2식과 3식이 확인된다. 5단계는 4단계가 지속되는 단계로 유개대부토기와 평저심발형토기의 공반 출토 사례를 하한으로 3세기 후반으로 설정하였다. 유개대부토기의 기원은 기존 집단에서 발생했다기보다는 중국, 낙랑 등의 영향으로‘유개대부토기’라는 토기 속성을 인지하고 있었던 집단이 호서 북부지역으로 유입된 후, 유개대부토기를 제작하였을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집단은 기존 집단으로 유입되어 공존하면서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기존 집단과는 다른 묘제 및 부장품을 선택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유개대부토기는 호서 북부지역에서 경기 및 영남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호서 북부지역인 아산 용두리 진터 유적에서 가장 이른 형식이 확인되고 경기 남부지역의 평택 마두리 유적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쪽으로 이동하여 천안, 청주, 세종시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호서와 영남 내륙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유적의 자료가 아직 확인되지 않아 경상북도 상주시, 김천시, 구미시 등에서 두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attributes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from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ir styles, and reviewing the changes in the styles, the origin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and the patterns of their dissemination. Mounted potteries with lid made by Mahan and Jinpyonhan–the confederacies that existed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were earthenware used for ritualistic purposes. They are exclusively found in ancient tombs. Mounted potteries with lid are jars, bows, and dishes with lids in the shape of a hat or a mushroom, with trumpet-shaped horns attached to the body. They are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the Hoseo regio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and the Yeongnam regio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is study classified mounted potteries with lid into five stages, depending on their styles and whether they are excavated with round-bottomed bowl and/or iron spearheads. Stage 1 potteries consist of a mounted jar with lid (①, ②) and a mounted bowl with lid. Stage 2 potteries consist of two mounted jars with lid① and two mounted bowls with lid. All three forms of potteries are found in Stage 3, which consist of three mounted jars with lid①, three mounted bowls with lid, and a mounted dish with lid. Stage 4 potteries include four mounted jars with lid, four mounted bowls with lid, and two mounted dishes with lid. Stage 5 potteries consist of four mounted dishes with lid. Mounted potteries with lid wer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urial styles of Han Dynasty tombs. The potteries spread from the coastal areas in the Hoseo region to the Gyeonggi region in the north, and Cheonan and Cheongju in the east. Exchanges among the Gyeonggi, Hoseo, and Yeongnam regions seem to have taken either inland routes or coastal routes. As for the origin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they seem to have spread from the Gyeonggi region to the Hoseo region, and then to the Yeongnam region. While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origin and spread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Mahan and Jinpyonhan are likely to have shared common elements of the pottery culture, with different areas producing and developing their own styles of potteries.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and dissemination of the potteries is restricted by the scarcity of evidence found so far, which will be hopefully addressed by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유개대부토기의 형식 분류
Ⅲ. 유개대부토기의 기원과 확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령(Kim, HeeRyeong). (2022).삼한 분묘 출토 유개대부토기 연구. 백제연구, 75 (1), 1-30

MLA

김희령(Kim, HeeRyeong). "삼한 분묘 출토 유개대부토기 연구." 백제연구, 75.1(2022):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