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용봉문 환두대도의 전파 양상

이용수 201

영문명
A Study on diffusion aspect of Baekje Iron Swords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양진석(Yang, JinSeok)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5집, 31~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5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5~6세기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과 일본에서 발견되는 용봉문 환두대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은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용봉문 환두대도가 다른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전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까지 세분된 제작기법으로 용봉문 환두대도의 제작지를 검토하는 연구에서 다양한 제작기술이 중복된 사례의 경우 제작지를 특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확인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확연히 구분되는 제작기술과 더불어 용봉문 도상의 중요성이 크다고 인지하고 단순히 도상 종류를 파악하는 것에서 도상의 비교를 통해 용봉문 환두대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지역성이 뚜렷한 제작기법을 선별하기 위해 유물을 실견하고 분류된 속성들을 형식별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시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 편년 연구를 참고하여 형식별 연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각 형식 연대가 뚜렷한 경계를 보이지 않아 출현기와 확립기라는 두 단계를 설정하였다. 출현기에는 백제 지역 출토품에서 외환 근교형(筋交型) 주룡문과 환내 중앙장식인 단봉문은 문양의 퇴화라는 측면에서 백제 지역 내에서 뿐만 아니라 가야지역까지 형식학적 연속성이 확인된다. 확립기에는 환내 중앙장식 단룡문과 외환 식합형(喰合型) 주룡문은 무령왕릉 출토품에서 시작돼 왜 지역에 문양 퇴화 측면에서 형식학적 연속성을 보여준다. 가야지역에는 고령 지산동 구(舊)39호분(현 5호분)의 단룡 환두대도 외에 도상적 측면에서 연속성이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확립기 이후 가야지역에서 가야만의 독창적인 용봉문 환두대도 문화를 전개함과 동시에 백제지역에서 아직까지 비교 대상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도 작용하기에 차후 자료가 보완된다면 확립기 단계에서 백제와 가야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ed iron swords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discovered in the 5th-6th century,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how iron swords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excavated in the Baekje reg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fected and spread to other areas.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in the research to examine the places where iron swords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were manufactured with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sub-divided until recently,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places of production if there are overlapping various production techniques. Thus, Along with the clearly distinguished production technique,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image of the pattern of dragon and phoenix is of great importance, and breaking from simple assessment of the type of the images, this study investigated iron swords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through a comparison of the images. First, this study actually inspected the relics and divided the properties classified to select the production technique with the distinct locality. To check their temporality, this study assessed the period of each form, referring to the preceding chronological studies. As a result, there was no clear boundary of chronology between forms, so this study set up two stages, the stage of emergence and the stage of establishment. In the stage of emergence, in the objects excavated in the Baekje region, outer bracing type two-dragon motif in sword with ring pommel and inner central decoration type single phoenix motif in terms of the degeneration of the pattern, formal continuity is found in the Kaya region as well as in the Baekje region. In the stage of establishment, inner central decoration single dragon motif and outer eating type two-dragon motif in sword with ring pommel started in the objects excavated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 formal continuity is found in the Wa (Japan) region in terms of the degeneration of the pattern. In the Kaya region, no continuity is found in terms of the image, except for a single dragon pattern sword with ring pommel in former Tomb No. 39 of Jisandong in Goryeong (Tomb No. 5). And yet, after the stage of establishment, the Kaya region developed its own original culture of an iron sword with dragon and phoenix-decorated ring pommel, and no comparable relics were discovered yet in the Baekje region. Thus,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Kaya more clearly in the stage of establishment if data are supplemented.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시대 용봉문 환두대도의 단계별 변천과정
Ⅲ. 용봉문 환두대도의 지역별 변천양상
Ⅳ. 백제 용봉문의 지역별 상관성과 전파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진석(Yang, JinSeok). (2022).백제 용봉문 환두대도의 전파 양상. 백제연구, 75 (1), 31-64

MLA

양진석(Yang, JinSeok). "백제 용봉문 환두대도의 전파 양상." 백제연구, 75.1(2022): 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