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3~6세기 출토 청동 조명도구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f Bronze Lamps of the 3rd to 6th Century Unearthed in China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韓茗(Han, Ming)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4집, 213~25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25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대륙에서 출토된 3~6세기 청동 조명도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형태의 차이에 따라 수병등(豎柄燈), 연지등(連枝燈), 횡병등(橫柄燈), 제등(提燈), 녹로등(轆轤燈), 치등(卮燈), 촉반(燭盤), 촉삽좌(燭插座)의 8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나라 이후부터 수나라 이전까지의 청동 조명도구의 변천양상을 파악해보았다. 또, 동시대의 도자기 조명도구의 형태와 비교하여 육조시대 조명도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살펴보았다. 비록 한나라 이후 청동 조명도구 제작이 쇠퇴하였지만, 도자기 수공업이 발달하면서 조명도구 장식에높은 예술적 표현력과 역외(域外) 문화의 영향을 보여준다. 특히 촉삽좌 같은 조명도구의 발전으로 같은시기의 조명도구 장식을 풍부하게 하고 새로운 시대적인 특징도 더하였다. 초(燭)의 보급으로 조명연료가 변하게 된 것은 한나라 이후 조명도구의 형태변화의 가장 중요한 계기이며, 육조시대는 중국 고대 조명도구의 전환기로 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당시대(漢唐時代) 조명도구의 연구과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육조시대 조명도구의 특별한 성격에 알아보았다. 또한, 현재 조명도구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해 복잡한 분류와 자료의 부족에서 문제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llects the data of bronze lamps unearthed from the 3rd to 6th century in Chinese mainlan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form, they are divided into eight types: vertical handle lamp, branches-shaped lamp, horizontal handle lamp, pendant lamps, clamshell-shaped lamp, vessel-shaped lamp, candle tray and candle socket, based on which we trying to summarize the evolution of bronze lamps between the end of Han Dynasty to Sui Dynasty. We investigate the general appearance of lamps in the Six Dynasties taking ceramic lamps from the same period as comparison. Although the production of bronze lamps declined after the Han Dynasty, under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porcelain manufacturing industry, lamp decoration showed a strong artistic expression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 especially the rise of lamps for candle, which made the lamps more decorative and full of the new fashion of the times. The wide use of candles promoted the change of lighting fuel,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change of the forms of lamps after Han Dynasty. It was the Six Dynasties that was the transition period of ancient Chinese lamps. Starting from the particularity of the lamps from the Six Dynasties, based on the aboved iscussion, this paper discusses the judgment and classification standards of lamps and lanterns in the Han-to-Tang Dynasties period, and points out the complexityof lamp typology and that there remains much to be further explored.

목차

Ⅰ. 머리말
Ⅱ. 육조시대(六朝時代) 청동 조명도구(照明道具) 형태
Ⅲ. 육조시대 조명도구 형태의 특징 —청동 조명도구와 도자기 조명도구의 비교를 바탕으로-
Ⅳ. 한・육조시대(漢・六朝時代) 조명도구 유형에 대한 재조명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韓茗(Han, Ming). (2021).중국 3~6세기 출토 청동 조명도구 연구. 백제연구, 74 (1), 213-256

MLA

韓茗(Han, Ming). "중국 3~6세기 출토 청동 조명도구 연구." 백제연구, 74.1(2021): 213-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