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파수부 등잔 연구

이용수 71

영문명
Study of the Baekje Handle Lamp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李相日(Lee Sangil)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4집, 257~28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25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 사비기에는 다양한 유적에서 등잔이 출토되고 있어 당시 활발한 조명문화가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등잔들은 대부분 종지형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독특한 형태의 등잔이 사비기에 공존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 등잔은 동체에 파수(把手)와 덧붙여진 칸이 조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체의 경우 소형 완(盌)의 형태와 유사하여 일반적인 종지형 등잔에 비해서는 크다. 파수의 경우 따로 제작한 점토를 부착하고 이를 90°로 접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ᄀ’자 형태를 띤다. 마지막으로 덧붙여진 칸은 세종류로 구분된다. 먼저 작은 귀(耳)를 동체 중간부터 부착한 것과 같은 Ⅰ형식, 장방형의 칸을 동체에 연접하여 부착한 Ⅱ형식, 작은 완을 동체에 연접하여 부착한 것과 같은 Ⅲ형식이 있다. 파수부 등잔의 편년을 살펴보면, 7세기 초엽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기점이 되는 유적이 부여 관북리 유적과 청산성, 동남리사지를 주목할 수 있다. Ⅰ형식과 Ⅱ형식이 주를 이루며 Ⅲ형식은 적극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7세기 중엽에 들어서면 파수부 등잔의 출토 유적이 증가하는데, 익산 왕궁리에서도 확인된다. Ⅲ형식도 보급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세가지 형태가 백제 말기까지 그대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파수부 등잔의 출현 배경으로는 중국의 영향, 고구려의 영향, 자체 발생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중국 문화의 수용과 중국 자기의 번안(飜案)을 고려하면 중국 조명도구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파수부 등잔은 동체에 연료를 담고, 덧붙여진 칸에 심지를 놓는데 사용했을 것이다. 이는 동체에서 기름이 담겼던 흔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덧붙여진 칸에는 그을음이 다량 흡착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심지의 고정을 향상하기 위해 동체와 덧붙여진 칸 사이에 작은 원공(圓孔)을 설정한 사례도 존재한다.

영문 초록

Oil lamps are excavated from various historical sites during the Baekje Sabi Period. This shows that lighting devices were used actively at that time. Most of these lamps are bowl-shaped, with unique types of lamps coexisting. The lamp features a combination of a handle and an added container on the body. The body is similar with the shape of a small bowl which is bigger than the general small cup sized oil lamps. For the handle, separately made clay was used, which was folded to 90°, looking like a ‘ㄱ’ form on the side. The last container to be added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here is a Type I with a small ear attached to the body, a Type II with a rectangular container attached to the body, and a Type Ⅲ with a small bowl attached to the body. Looking into the chronology of Handle lamp, it is appearing in early 7th century. The original remains of it is Gwanbuk-ri in Buyeo, Cheongsan Fortress, and Dongnam-ri Temple. Mainly Type I and Type II were present, and Type 3 is not seen much. Entering the mid-7th century, excavated remains increased and was also found in Iksan Wanggung-ri. It seems that Type Ⅲ has also been supplied, assuming these three types have been used until the end of Baekje. Handle Lamp may have emerged from the background of Goguryeo and China, and also by Baekje itself. However, considering the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and the adaption of Chinese porcelain, with big possibility it was influenced by Chinese lighting devices. Finally, the Handle Lamp would have placed oil on the body and wick on the added container. This was shown through traces of oil on the body, and a large amount of soot on the added container. There are also examples of small holes made between the body and the added container to increase the settling of the wick.

목차

Ⅰ. 머리말
Ⅱ. 파수부 등잔의 출토 현황과 양상
Ⅲ. 파수부 등잔의 특징 및 출현 배경
Ⅳ. 파수부 등잔의 사용법
Ⅴ. 파수부 등잔과 파수부 배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相日(Lee Sangil). (2021).백제 파수부 등잔 연구. 백제연구, 74 (1), 257-288

MLA

李相日(Lee Sangil). "백제 파수부 등잔 연구." 백제연구, 74.1(2021): 257-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