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7세기 일본 奈良縣 櫻井지역의 이른바 磚槨式石室 검토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the so-called a Brick-type Stone Chamber in Sakurai area, Japan in the 7th Century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김규운(Kim, Gyuun)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1집, 23~5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5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일본열도를 상징하는 전방후원분은 7세기를 전후하는 시기에 당시 중심지역인 畿內지역부터 소멸하기 시작한다. 이후 횡구식석곽 등의 새로운 묘제가 주요 매장주체부로서 자리를 잡게 되는 한편, 奈良縣 櫻井지역에는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석재를 전돌과 같이 가공하여 구축하는 이른바磚槨式石室이라고 하는 독특한 매장주체부가 축조된다. 이 전곽식석실에 대해 속성분류 등의 형식학적 분석을 통해, ⅠA, ⅠB, Ⅱ, Ⅲ, Ⅳ유형으로 설정하고 그 특징을 명확하게 하였다. 더욱이 각각의 유형의 연대에 대해 형식학적 변화와 출토토기 분석을 통해 7세기 전엽부터 7세기 중엽에 걸쳐 축조되는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전곽식석실의 기원과 피장자 문제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전곽식석실과의 비교대상이 되는 백제의 전실분과 송산리형석실과는 시기적으로 전혀 겹치지 않는다. 또한 전곽식석실에는 실제로 하나의 ‘塼’도 사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석실의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백제의 전실분, 혹은 송산리형석실과 완전하게 같은 것도 단 한기도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평면형태는 당시의 일본열도 중심지인 飛鳥와 河內지역에 분포하는 횡구식석곽과 유사한 점에서, 전곽식석실은 백제의 전실분, 이주민과는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마지막으로 전곽식석실은 석재와 분포, 축조연대 등을 통해, 榛原石이라고 하는 독특한 석재에 기인하여 축조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front-end patronage symbolizing the ancient Japanese archipelago began to dissipate in the 7th century in the then central region of kinai. Later, a new tomb, such as the Hoenggu Sikkok, will be established as the main storekeeper, while a unique burial body called the so-called a Brick-type stone chamber which is constructed in Sakurai area by processing stone materials that are not visible in other areas like bricks, will be built. The formal analysis of this Brick-type stone chamber, such as attribute classific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IA, IB, II, III and IV types and its features have been clarified. Moreover, formal changes and earthenware analysis of each type of regiment revealed that it was built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the origin and the subject matter of Brick-type stone chamber was also reviewed. In conclusion, it does not overlap at all with Baekje’s Brick-type stone chamber and Songsan-ri’s chamber, which are subject to comparison with the former chamber. Also, not a single brick is actually used in the Brick-type stone chamber. Moreover, in the overall form of the stone chamber, there is not a single cold snap that is completely the same as the former chamber of Baekje or the Songsan-ri stone chamber, and in fact, the entire chamber has nothing to do with a stone chamber of Baekje, given that the plane is similar in its shape to the transverse sphere of the central Japanese archipelago at that existed in the center of asuka and kawachi area. Finally, the chamber was assumed to have been built due to a unique stone structure called ‘haibaraisi’, through its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Ⅲ. 櫻井지역의 磚槨式石室
Ⅳ. 유형설정 및 편년
Ⅴ. 磚槨式石室의 출현과 전개양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운(Kim, Gyuun). (2020).7세기 일본 奈良縣 櫻井지역의 이른바 磚槨式石室 검토. 백제연구, 71 (1), 23-55

MLA

김규운(Kim, Gyuun). "7세기 일본 奈良縣 櫻井지역의 이른바 磚槨式石室 검토." 백제연구, 71.1(2020): 23-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