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에서의 백제연구

이용수 47

영문명
Baekje Studies in China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馮立君(Feng, Lijun)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71집, 81~150쪽, 전체 7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5
11,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당시대 백제의 역사에서 동아시아를 발견할 수 있다. 백제를 국호로 삼은 인간 공동체와 그 문명은 이웃 세계와의 다원적이고 밀접한 관계 속에서 활약했으며, 이는 백제가 주변부가 아닌 한당동아시아의 중추로서의 역사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백제의 역사는 첫째, 중국과 일본, 신라-고구려계통이 기록한 ‘타자’의 역사적 기록, 다른 하나는 고고자료와 금석문 등을 포함하는 ‘自我作古’의 의미를 갖는 백제인들의 역사유적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동아시아 각지 산포되어 있으며 오늘날 전면적으로 해독되고 있어 백제와 동아시아 연구를 심화시키는 본질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기점으로 하면 한당시대 백제연구의 학술연구사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있다. 1945년 이전 중국학자들의 연구는 초기단계였고, 일본학자들의 발굴조사와 연구가 주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ᆞ북한학자들의 체계적인 고고학과 세밀한 연구가 점점 주가 되었다. 근래에 와서 중국학자들은 한당사와 동아시아사를 교차하여 사료를 세밀히 살피고 새롭게 확인되는 사료를연구하고 있으며, 중국 스타일의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구도를 초보적으로 확립했다. 중국학자들은 현재 이미 초보적인 백제사료의 정리와 편년작업을 진행했으며, 『第一次 全國範圍的百 濟史專題研討會』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중국학계에서의 백제연구의 새로운 기점이 되고 있다. 중국의 백제연구자들은 비록 자의적으로 모인 연구집단은 아니지만, 그들이 이룬 백제사연구의 의미는 특별하다. 우리들은 노력을 통해 한국·일본과 함께 연구하여 빠르게 나아갈 수 있으며, 진정으로 학술적인 공동의 진보, 문명의 교류로 서로에게 귀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history of Baekje in Han-Tang Period reflects East Asia. During this period, communities of civilization with Baekje as their national title existed in the neighboring world, which indicat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Baekje as a regional hub rather than a marginal region in Han-Tang Period. Baekje’s historical writing includes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other,referring to the systems of China, Japan and Silla-Koryo, and the historical relics of Baekje people, includ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inscriptions on stones, bearing certain meanings of self-preservation.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se historical materials scattered throughout East Asia today now is identified as the fundamental way to deepen the study on Baekje. If taken the end of WWII as a watershed, the academic history of Baekje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time before 1945 in which Japanese scholars studies prevailed in terms of investigating and excavating; and the time after the war when systematic Archaeology and detailed research by Peninsula scholars gradually took the main position. In recent years, Chinese scholars carefully interpreted the Chinese cemeteries and searched for new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history of Han-Tang Period and the history of East Asia, thus, established a new pattern of Chinese style in regional history research. At present, Chinese scholars have carried out preliminary historical data sorting and chronological work, and held the first nationwide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aekje, which are new starting points for the study of Baekje in Chinese academic circles. Chinese Baekje researchers, though not self-conscious, are self-existent research groups, but their research on Baekje history is of great significance. We hope that through our efforts, we can make great progress in our peer-to-peer exchanges with Japan and South Korea, and truly achieve common academic progress and mutual learning of civilizations.

목차

Ⅰ. 중국의 백제연구 토대
Ⅱ. 중국의 백제연구사
Ⅲ. 결론 -중국 백제연구의 현위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馮立君(Feng, Lijun). (2020).중국에서의 백제연구. 백제연구, 71 (1), 81-150

MLA

馮立君(Feng, Lijun). "중국에서의 백제연구." 백제연구, 71.1(2020): 81-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