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젠더 정의의 퇴행 공간으로서의 한국 교회

이용수 232

영문명
Korean Churches as a Backward Space for Gender Justice: From Busan to Karlsruhe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김혜령(Hye-Ryung Kim)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96집(2022년 봄호), 307~34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WCC(세계교회협의회)는 지난 70여 년간 사회와 교회 속에 존재하는 여성 혐오와 성폭력, 나아가 여성 리더십을 배제하는 가부장적 교회와 사회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큰 노력을 해왔었다. 이 연구는 WCC가 펼쳐온 정의와 평화를 향한 순례를 존중하며 2023년 제11차 칼스루헤 총회를 준비하는 한국 교회를 위해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에서의 젠더 정의 실현의 상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에서 젠더 이슈를 주도한 청년 세대는 온라인 공간에서 혐오 발언과 백래시, 미러링과 같은 현상들을 유행시키며 ‘성차별’에 대한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의 인식의 격차를 적대적으로 벌려왔다. 이에 비해 한국 교회는 젠더 관련 이슈에 대한 발언권을 60대 이상의 교회 남성 지도자들이 독점하며 교회 조직의 구조에서 여성 리더십을 여전히 배제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교회들에서 여성 그리스도인들의 역할을 가부장적 위계질서 아래 허락된 ‘보조자’나 ‘봉사자’로서의 역할로 여전히 제한하고 있다. 교회 내 성폭력 범죄에 대한 대처에 관련하여서는 일부 교단에서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NCCK 회원 교회들을 중심으로 범죄 사실을 밝히는 담당 위원회의 설립, 절차의 법제화, 처벌 수준의 정량화, 그리고 피해자 구제와 보호 조치들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NCCK 비회원 교회들에서는 교회 내 성폭력 사건의 존재 자체를 공론화하는 제도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으며, 한국 사회의 젠더 정의에 부합하는 교회로 개혁하는 일을 외면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성평등한 리더십과 성폭력 범죄 예방과 대처에 전체적으로 답보하거나 약간의 개선을 보이고 있으나, 동성애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상당히 퇴행적 모습을 보이며,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사랑의 명령을 선포하는 그리스도교 윤리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보수 기독교 진영은 동성애자들에 대한 혐오를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널리 유포시키는 전략을 통해 냉전 체제의 붕괴 이후 정치적 세력으로서 집결할 동력을 잃은 극우 정치 세력의 헤게모니를 장악하였다. 젠더 정의에 대한 보다 더 적극적인 개선을 통해 한국 교회는 전근대적 상황에서 과감히 벗어나 ‘현대화된 교회’(contemporized church)로 개혁해야 한다.

영문 초록

Respecting the pilgrimage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has made towards justice and pea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ituations in which Korean churches have sought to gender justice over the past decade. Since they hosted the WCC Busan assembly in 2013, Korean churches have been preparing for the 11th WCC assembly scheduled to be held in Karlsruhe in Germany in 2023. Younger generations in Korean society have taken the initiative on gender issues over the past decade. Phenomena such as hate remarks, backlashe to change, and trolling in the online space have widened the gap of host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comparison, male church leaders who are 60 or older have monopolized the right to speak on gender-related issues in the Korean churches, continuing to exclude female leadership from the church organizational structure. Also, still operating under patriarchal norms, local churches continue to limit the roles of women Christians to those of assistants or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some churches have taken major steps forward in responding to sexual violence. In particular, led by the member churches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an institutional foundation has been laid by organizing committees in charge of inspecting related criminal facts, legislating procedures, establishing quantitative levels of punishment, and taking relief and protective measures for victims. However, non-member churches of the NCCK still fail even to publicly discusses existence of sexual violence in the churches, and turn away from reforming the churches to comply with the gender justice norms of Korean society. Overall, Korean churches have remained at a standstill or slightly improved when it comes to gender equality in leadership and the prevention of and response to sexual violence. Nevertheless, they have shown a fairly backward stance toward the issues of homosexuality, departing from the Christian ethic that declares a duty to love the weak and the members of minority groups. Especially, conservative Christian churches have taken to disseminating hatred against homosexuals among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Through this strategy, they have attempted to hold onto the hegemony of far-right political forces that lost power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Therefore, through more positive improvements to gender justice, Korean churches should drastically depart from premodern modes of being and reform to be “contemporized” church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국 사회와 젠더 정의 ― 반격과 역공
Ⅲ. 한국 교회와 젠더 정의 ― 답보와 퇴행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령(Hye-Ryung Kim). (2022).젠더 정의의 퇴행 공간으로서의 한국 교회. 신학사상, , 307-346

MLA

김혜령(Hye-Ryung Kim). "젠더 정의의 퇴행 공간으로서의 한국 교회." 신학사상, .(2022): 307-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