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학과만족 및 진로경험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353

영문명
Th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the Job Self-awarenes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PBL (Problem/Project-Based Learning) Class Participation or not Multi-group Comparison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신주랑(Shin, Ju-Rang) 박인우(Park, In-Wo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9輯, 39~6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경험의 효과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문제/프로젝트 기반 학습(Problem/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에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3차 년도(KEEPⅡ :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Bootstrap 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학과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적자기인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진로경험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학과만족도와 진로경험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PBL 수업 적용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 경로분석결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과만족도, 진로경험, 직업 자기인식으로 가는 경로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진로경험, 직업자기인식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job self-awareness of local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 is applied.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II of the Kore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For this study, AMOS 22 was used. Bootstrap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gree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vocational self-awareness. Second, career experie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self-awaren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self-awareness,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were verifi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path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PBL class is appli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o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experience, and occupational self-awareness.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주랑(Shin, Ju-Rang),박인우(Park, In-Woo). (2021).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학과만족 및 진로경험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 34 (2), 39-66

MLA

신주랑(Shin, Ju-Rang),박인우(Park, In-Woo). "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학과만족 및 진로경험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 34.2(2021): 39-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