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교육에 대한 교원과 대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이용수 238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A University’s Students and Faculty Perspective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경리(Kim, Kyunglee) 오방실(Oh, Bangsil)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9輯, 121~1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팬더믹으로 인한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원과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를 통하여, 뉴-노멀시대의 고등교육 체제 구축에의 기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만족도 및 인식조사를 시행하였고, 응답 자료를 토대로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교원과 학생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개선의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영상품질, 실시간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에 대해서는 교원의 만족도가 더 높았고 녹화영상 강의,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녹화영상 강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영상품질, 실시간 온라인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개선의견으로는 교원과 학생 공통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위해 효율적인 프로그램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교원은 학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학생들은 수업 간 일관성과 비대면 수업으로 늘어난 과제량 조절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한편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교원들의 생각과 달리 학생들은 시공간 초월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반복 수강할 수 있는 녹화영상 강의를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교원과 쉬운 소통 수단이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포스트 COVID-19 시대를 준비하며 단기적이고 임시방편 차원의 비대면 교육 운영이 아닌, 비대면 교육을 효율적으로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장기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 그리고 교수자 차원의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 및 워크샵 수강 등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faculty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non-face-to-face educ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Surveys of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education for student and faculty were administere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by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an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culty’s satisfactions with video quality, online live lecture, and online platfor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while faculty’s satisfactions with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recorded video lecture between faculty and student. Third, both faculty and students requested to effective technical suppor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Most faculty requested sup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while students asked for consistency among classes and adjust the amount of task. Surprisingly, constrary to the faculty thoughts that students would prefer online live lecture, students preferred recorded video lec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리(Kim, Kyunglee),오방실(Oh, Bangsil). (2021).비대면 교육에 대한 교원과 대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교육문제연구, 34 (2), 121-141

MLA

김경리(Kim, Kyunglee),오방실(Oh, Bangsil). "비대면 교육에 대한 교원과 대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교육문제연구, 34.2(2021): 12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