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이용수 295

영문명
A Study on the issue of marking the territo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조영광(Jo, Yeongkwang) 정호섭(Jung, Hosub)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1집, 37~7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이 중앙 집권적 영역국가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전개한 4~6세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도 해당 시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점은 동일한 4~6세기 삼국의 영역을 두고서 초, 중, 고교의 학교급을 막론하고 교과서마다 적지 않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 삼국의 영역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국가와 시기별로 다양한 주장들이 제기되었다. 관련 학설들을 교과서 기재 내용과 지도를 중심으로 풀어보면, 고구려의 북·서·동방의 경계와 백제의 요서 진출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 등으로 요약된다. 고구려의 북방 경계 관련하여서는 늦어도 4세기 중반에는 고구려가 북부여 중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여 영역을 확보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서방 경계의 경우 고구려가 요동반도 전체를 영역화하는 시기가 대체로 4세기 말이므로 그 이후 시기의 지도에는 요동반도 전역을 고구려 영토로 표기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동방 경계는 고구려가 이른 시기부터 한반도 동해안 지역으로 진출한 기록이 존재하고, 늦어도 3세기 후반에는 동해안 지역 지배의 거점인 두만강 유역의 책성을 영역화한 것이 확실하므로 그 이후 시기 고구려 영역 지도에는 해당 지역을 포함시켜야 한다. 백제 영역과 관련하여 요서 진출 문제는 고고학 증거의 부재와 사료의 문제점 등을 이유로 다수의 한국 고대사 연구자들이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도 주의 깊게 살펴볼 부분이다. 가야사 관련 발굴 성과가 늘어나고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5세기 무렵 후기 가야 연맹의 세력권이 섬진강을 넘어 호남 동부 일원에 미친 것으로 보는 연구 성과가 다수 나왔다. 이는 주로 대가야계 토기의 분포와 같은 고고학 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학계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다만 그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후기 가야의 영역을 지나치기 호남 쪽으로 확대 설정한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 대가야계 토기의 집중 출토지를 중심으로 보다 학계가 모두 동의하는 선에서 영역 표기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In ancient Korean history, the 4th to 6th centuries, when the three kingdoms grew into a centralized state and competed in earnest, have an important meaning. Therefore, this period is also treated as important in secondary history textbook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show serious deviations in the terri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Various theories have been raised on the territorial issues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Korea. If you focus on the contents and maps of the textbook, it is summarized as Goguryeo s border between the north, west, and east, Baekje s occupation of Liaoxi, and the border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As for the northern boundary of Goguryeo, it is appropriate to assume that by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t the latest, Goguryeo secured most of the Buyeo area except for the center of Bukbuyeo. In the case of the Western border, Goguryeo generally territorialized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so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should be marked as Goguryeo territory on a map of the period after that. As for the eastern border, there is a record of Goguryeo advancing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period, and it is certain that the Tuman River basin, the base of control of the eastern coast, was territorialized at the latest in the late 3rd century. Therefore, the area must be included in the Goguryeo area map during the period after that. Many researchers of ancient Korean history have a negative stance on the issue of Baekje s occupation of Liaoxi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 and problems with literature data. The issue of the boundary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should also be approached carefully. Recently,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history of Gaya have increased,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a result, around the 5th century,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late Gaya alliance crossed the Seomjin River and reached the eastern part of Honam. This is mainly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such as the distribution of Daegaya-type earthenware, and many researchers agree.

목차

Ⅰ. 머리말
Ⅱ. 현행 초, 중등 교과서 게재 4~6세기 삼국 영역 지도 분석
Ⅲ. 초, 중등 교과서 삼국 영역 관련 쟁점의 학술적 검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광(Jo, Yeongkwang),정호섭(Jung, Hosub). (2022).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역사문화연구, 81 , 37-74

MLA

조영광(Jo, Yeongkwang),정호섭(Jung, Hosub).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역사문화연구, 81.(2022): 3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