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鷄林士禍의 배경과 영향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flicting Aspects of Gyeongju yulim[Confucian scholars] from the perspective of Gyelimsahwa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吳尙昱(Oh, Sang-u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3호, 35~8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尤菴 宋時烈(1607~1689) 死後 우암을 모신 노론계 사당건립이 전국적으로 논의되면서 1704년(숙종30) 거제의 盤谷書院, 1707년(숙종33) 포항의 竹林書院, 1719년(숙종45)경주 역시 仁山書院 등이 건립된다. 당시 우암은 포항 長鬐에서 5년간 謫居하다가 巨濟로 移配되는 과정에 경주부를 경유하게 되면서, 경주의 유림 곡산한씨 등과 접촉하였고, 韓是愈․韓興愈․韓希愈․韓再愈 등의 주도로 우암을 모신 鳳巖影堂을 건립한다. 하지만 鄕士의 남인계 등은 봉암영당의 건립을 못마땅하게 여겼고, 결국 봉암영당 훼철사건과 계림사화라는 경주부윤의 당론과 집권세력의 입장에 따라 남인과 노론의 힘겨루기로 지역 유림 간 큰 진통을 겪는다. 당시 한시유의 杖殺사건은 봉암영당 훼철사건과 관련이 깊고, 노론계 입장의 『仁山實記』와 남인계 입장의 「十家契」 등은 당시 계림사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모두가 당시의 상황을 내면에서 설명한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18․19세기 鄕戰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인식된다. 특히 거제와 포항을 거쳐 경주의 봉암영당 훼철과 鷄林士禍 이후 안동․영덕․울산 등지에서도 경주와 같은 鄕戰이 발생되어 지역 유림 간 갈등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이는 지역발전의 저해와 학문의 침체 등을 야기하였지만, 제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단지 時流의 한 단면으로 비춰질 뿐이다.

영문 초록

As the construction of No-Ron Family Sadang[ancestral shrine] enshrining Uam was discussed nationwide after the death of Uam Song Si-Yeol(1607~1689), there was a construction of Seowon in the country including Ban-Gok Seowon at Geoje in 1704, Juk-Lim Seowon at Pohang in 1707 and In-San Seowon[memorial hall for Confucianism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 statesmen] at Gyeongju in 1719. As Uam lived in exile at Pohang Jang-Gi for 5 years via Gyeongju area in the process to move to Geoje at that time, he contacted Gok-San Han-Family in Gyeongju yulim and constructed Bong-Am-shrine hall enshrining Uam, led by Han Si-Yu, Han Heung-Yu, Han Hee-Yu and Han Jae-Yu. However, country gentlemen in Nam-In family were dissatisfied with Bong-Am-Young-Dang construction. As a result, they suffered a great pain between regional yulim due to the power competition with Nam-In and No-Ron family according to the party views of Gyeongju Bu-Yun and the position of ruling party. At that time, the death of beat death incident of Han Si-Yu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molishing incident of Bong-Am-Young-Dang. 『In-San-Sil-Gi』 of No-Ron family position and 「Sib-Ga-Gye」 of Nam-In family position are regarded as the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Gyelimsahwa at that time and have the meaning to expla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from the inside viewpoints. Especially after Gyelimsahwa and demolishing of Bongam Yeongdang at Gyeongju via Gyeongju and Pohang, there have been Hyang_Jun[conflict between village yulim] at An-dong, Young-Deok and Ulsan as well, and the conflict in regional yulim continued, which caused the inhibition of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and depression of literature. From a third-party standpoint, however, it is perceived as the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Hyang_Jun in 18th and 19thcentury just as one aspect of trend.

목차

1. 머리말
2. 尤菴 移配와 仁山書院의 建立
3. 계림사화 발발과 유림의 갈등
4. 사화의 영향과 의의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尙昱(Oh, Sang-uk). (2017).鷄林士禍의 배경과 영향 고찰. 동방한문학, (73), 35-80

MLA

吳尙昱(Oh, Sang-uk). "鷄林士禍의 배경과 영향 고찰." 동방한문학, .73(2017): 3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