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여성 신분에 따른 귀신 형상화 방식의 차이

이용수 309

영문명
The Literary Portrait of Female Ghosts in Accordance with Their Status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정솔미(Solmi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3권, 161~19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에는 여성 귀신의 수와 종류가 크게 증가하며, 이들은 남성 귀신과는 달리 신분이 다채롭게 나타나나 지금껏 여귀(女鬼)를 신분별로 따로 검토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필기(筆記)·야담(野談)과 전기(傳奇) 등 조선시대 한문 서사 전반에서 여성이 죽은 뒤 귀신으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그 신분별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여성 귀신의 문학적 의미와 기능을 재음미하고자 한다. 상층 여성 귀신의 경우 언뜻 보면 남성에게 긍정적·우호적으로 인식되며 존중되는 듯 보인다. 이들은 남성 귀신과 동일하게 ‘온전한 죽음’을 맞이하고도 이승에 출현할 권능을 얻으며 가정의 대소사에 간여한다. ‘잘못된 죽음’을 맞이한 이들이라면 복수를 도모하기보다는 높은 정신적·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는바 이상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 외양 묘사를 고찰하면 대체로 신체의 훼손이나 죽음의 흔적이 보이지 않으므로 이들이 이상화된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재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실 상층 여성은 사후(死後)에도 오히려 남성 지배 체제에 복무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들의 권능은 남성 귀신보다 한층 축소되며, 그 욕망은 남성 서술자의 욕망과 중첩되어 서사 문면에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이상화된 외양 묘사는 이들을 유교적 도덕성 틀 안에 가두는 효과를 낳는다. 만일 상층 여성 귀신에게서 신체적 훼손이 현저하게 나타난다면 이는 이들의 절(節)을 현창하기 위해서다. 그리하여 그 삶과 죽음에 대한 진지한 비판적 성찰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점차 약화되는 면모를 보인다. 이와는 달리, 중하층 여성 귀신은 흥미를 자극하며 오락적·엽기적(獵奇的)으로 소비된다. 이들의 신체는 ‘함부로’ 서술되거나 이야기되며, 괴기스럽거나 공포감을 자아내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럼에도 이들 귀신은 나름의 주체성을 확보해 나간다. 이들의 출몰 이유는 죽음에 얽힌 사연과 긴결(緊結)되어 설명되는바 자신을 죽음으로 내몬 이들에게 복수를 하기 위함으로 상정된다. 그리하여 중하층 여성 귀신은 기존 체제에 균열을 일으킬 파괴력을 지닌 존재로 인식되며, 그 욕망의 성격도 분명히 제시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귀신 서사를 통해 남성이 내부적으로 경계하거나 자기반성을 기하는 태도에서 비롯되기도, 집안의 여성들을 경계하는 의도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아울러 중하층 여성을 체제 바깥의 존재로 여겨 ‘위협적’으로 본 남성의 시선, 그리고 이야기 자체에 내재한 중하층 여성들의 원망(願望)도 이들 귀신 이야기에서 길항한다. 이러한 긴장감과 역동성을 갖고 중하층 여성 귀신의 서사는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향유될 수 있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omen of different statuses are embodied into ghosts after their death throughout the Sino-Korean narrative, such as Pilgi, Yadam, and Jeon-gi,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doing so, this study tries to re-appreciate the literary meaning and function of female ghosts. Although he number of female ghosts increase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y have various statuses different from the male ghost, a study on the different statuses of female ghosts does not exist yet. In the case of the upper-class female ghosts, it seems that they are perceived as positive and friendly beings and are respected by males. These upper-class female ghosts seems to face the equal ‘intact death’ as male ghosts and are authorized to appear in this world. Moreover, those who faced ‘wrongful death’ tend to be idealized as they pursue spiritual and moral ideals rather than pursue vengeance. The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of these upper-class female ghost usually does not have any trace of physical damage or death, which reconfirms their tendency to be embodied as idealized beings. However, the upper-class women are in fact depicted as inferior beings that serve the male-dominated system even after their death. The power of the upper-class female ghosts is one step lower than that of the male ghosts, and the ‘real’ desire of the female ghosts is not well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female ghosts’ idealized appearance confines them within the boundary of confucian morality. If any notable physical damage were to found in an upper-class female ghost, it would be to highlight her fidelity. As a result, serious and critical contemplation on the life and death of female ghosts began to diminish towards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contrary, the middle and lower-class female ghosts tend to be consumed as entertainment by evoking male writers and readers’ interest. Their body is ‘carelessly’ described or told and portrayed. In spite of that, these middle and lower-class female ghosts secure their own identity. The reason for their appearance i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reason for their death; they mainly appear in this world to have their revenge on those who drove them to death. Accordingly, the middle and lower-class female ghosts are introduced as ghosts with destructive power to create cracks in the existing system. Of cours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sire are clearly suggested in the contents. Such results derive from an attempt to make male be on guard among themselves or reflect on themselves and also from an intention to make men look out for women in their family. Also, the stories of middle and lower-class female ghosts embrace men’s perception that considers the middle and lower-class women as ‘threatening’ beings that exist out of the system and also the resentment of the middle and lower-class women embedded in the stories. It is assumed that the narrative of the middle and lower-class female ghosts could be continuously enjoy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such dynamics.

목차

1. 서론
2. 조선시대 여귀(女鬼)의 존재 양상
3. 여성 신분에 따른 귀신의 형상화 방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솔미(Solmi Chung). (2021).조선시대 여성 신분에 따른 귀신 형상화 방식의 차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3 , 161-196

MLA

정솔미(Solmi Chung). "조선시대 여성 신분에 따른 귀신 형상화 방식의 차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3.(2021): 16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