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의 학습장애 학생 판별 및 진단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103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y in a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이하영(Lee, Ha Young) 임경원(Lim, Kououng-wo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3권 제1호, 49~6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 판별 및 진단과정에서 일반교사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진단과정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장애 학생의 판별 및 진단과정을 경험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았고, 4개의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습장애에 대해 정확한 지식이 없는 일반교사는 특수교육은 자신의 영역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판별을 위한 부모동의를 얻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었고,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과정을 신뢰하지 않았다. 그러나 결국 특수교육이 학생의 교육을 위한 것이라는 것과 현장을 위한 지원이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알 수 있는 것은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이해를 더 높일 수 있는 연수가 필요하고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습장애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이 더욱 중요하므로 협력적 접근이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xperience of a general teacher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y and to examin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diagnostic proces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acher lacked accurate knowledge of learning disability. She has had difficulty in obtaining parental consent for the classification. The process of diagnos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s not been clear. However, in the end, she experienc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is for students and the supports for the field should be more concrete.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that can enhance general teachers understanding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provide various supports. In addition,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criteria for diagnosis of learning difficulties should be established. Learning disability needs mor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teacher and general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영(Lee, Ha Young),임경원(Lim, Kououng-won). (2018).초등학교의 학습장애 학생 판별 및 진단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특수교육논집, 23 (1), 49-64

MLA

이하영(Lee, Ha Young),임경원(Lim, Kououng-won). "초등학교의 학습장애 학생 판별 및 진단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특수교육논집, 23.1(2018): 49-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