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와 발달 가능성에 대한 중학교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이용수 37

영문명
Percep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n Inclusive Physical Classes in Middle Schools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조경순(Cho, Kyung-Soon) 한성희(Han, Seong-Hui) 이미애(Lee, Mi-A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3권 제1호, 119~1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합학급 체육수업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사용하여 313명의 일반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중학교 학생들은 장애학생이 수업 준비나 참여 정도, 개별과제 활동, 모둠별 과제 활동, 소감발표 활동, 탐구조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중학교학생들은 장애학생의 기초기술, 사회성 기술,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가능성에 대하여 인지적 영역에서는 ‘운동원리에 관한 설명을 듣고 직접 활동해 볼 때’와 ‘팀원과 창의적 전략을 세울 수 있을 때, 정의적 영역에서는 ‘달리기 활동의 도전 정신을 실천할 때’, 심동적 영역에서는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할 때’ 발달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교사의 설명을 들을 때’, 말하기 능력에서는 ‘교사의 질문에 답할 때’, 모둠별 협력하는 능력에서는 ‘모둠 별 게임 활동을 할 때’ 발달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다. 자기주장능력에서는 ‘토론 주제나 주어진 역할에 때해 자기 생각을 말할 때’, 자기감정조절능력에서는 ‘이론 수업이 길어지는 것을 참으려고 노력할 때’를 발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몇 가지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of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general middle school. The integrate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 degree of acceptance of disabled students, their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social skills of disabled students through physical education, basic learn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of the general student are as follows : First, the position of the average student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to accept individuals who are disabled, but that it is acceptable to groups such as schools and classes. There was a very positive acceptance in the preparation and cleanup activities, game activities, and the participation of disabled students in the task performance activities. Second, the survey showed that disabled students ha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in teach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le the focus of the student intensive learning activities, task activities by group, and technical movements, showed passive participation of disabled students, individual task activities, impression presentation activities, and the ability to actively analyze the game were highly visible. Third, through integrated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there was a possibility of cognitive, defined, and psychoactive development of learn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경순(Cho, Kyung-Soon),한성희(Han, Seong-Hui),이미애(Lee, Mi-Ae). (2018).장애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와 발달 가능성에 대한 중학교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특수교육논집, 23 (1), 119-141

MLA

조경순(Cho, Kyung-Soon),한성희(Han, Seong-Hui),이미애(Lee, Mi-Ae). "장애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와 발달 가능성에 대한 중학교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특수교육논집, 23.1(2018): 119-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