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공적인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이용수 158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ng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tivat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정민(Kim, Joungmin) 김현욱(Kim, Hyun-woo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3권 제1호, 143~16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제도적, 교육적 지원 요소들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함이다. 250부의 교사 응답지를 바탕으로 SPSS 1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t,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응답자의 과반수(72.4%)가 통합교육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통합교육에서 우선시 되는 교육 정보는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문제행동’ 순이었으며, 우선시 되어야 할 지원은 ‘특수전담교사의 배치’와 ‘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수용과 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 통합교육에 필요한 요소로는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와의 협력적 지원’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든 영역에서 교수적 수정이 필요하다.’가 다음으로 높았다. 이러한 교수적 수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요소는 ‘성인, 교사, 또래 등과의 사회적 환경’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교사의 수행능력과 역량은 교사경력이 5-10년 된 교사가 통합교육 수행능력과 역량이 가장 높았고 비통합 교사들이 통합교육 교사들보다 자신의 역량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t = -3.182, p < .01). 기관별에서는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낮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사립유치원,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F = 3.524, p < .001).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필요한 연수내용은 ‘생활지도 및 행동지도 방법’이 40.0%로 가장 많았고, ‘유아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 24%, ‘교육과정 수정 및 교수학습방법’이 20%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장애아를 위한 통합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support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250 teachers responses, technical statistics and t and f were verified using SPSS 1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72.4%)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inclusive education positively.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nformatio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and behavior problem , and the top priority for support was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and acceptance and interest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Secondly, the factors that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are cooperative support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 and less than half of the study participants required educational revision in all are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be revised in such a pedagogical revision was social environment with adults, teachers, peers , which was the highest with 40.0%. Third, the teachers performance 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the 5-10 years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and non-inclusive education teachers. (t = - 3.182, p < .01). The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recognized their competence the lowest, followed by the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day care center (F = 3.524, p < .001). The most necessary training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was guidance for life guidance and behavior (40.0%),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for infants (24%) and curriculum modification and teaching method (20%).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and suggested follow-up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민(Kim, Joungmin),김현욱(Kim, Hyun-wook). (2018).성공적인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논집, 23 (1), 143-160

MLA

김정민(Kim, Joungmin),김현욱(Kim, Hyun-wook). "성공적인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논집, 23.1(2018): 14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