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朝儀 구성과 정비

이용수 119

영문명
The 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Goryeo Dynasty’s Royal Ritual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은정(Jeong Eun Jeo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0집, 31~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의 대조는 천도의 절일에 따라 맞춘 원정동지절일조하,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시간을 맞춘 망일 조회가 있다. 고려에서는 그나마 朔日조회만 확인되며 매달의 망일 조회는 행하지 않았다. 조하는 3대조회에 병행하여 개최된다. 조하는 封物․附表․宴(會賓)․百官朝賀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지방계수관이 보낸 하표를 받는 행사는 원단조하에 가장 집중된다. 원단조회에 병행한 賀儀가 가장 완벽한 절차로 치러진 만큼 고려에서 元旦朝賀儀의 비중이 높았다. 왕과 왕실구성원은 조하를 받을 수 있는 수조하 대상자이다. 왕태자 의식에서는 국왕에게 朝謁하는 행위가 반드시 뒤따른다. 왕태자는 미래의 왕이지만 동시에 현 국왕에게 신하로서 예를 취해야 한 때문이다. 대개 왕태자의식이 附表․宴(會賓)․朝賀․朝謁의 완벽한 짜임으로 운영된다면, 왕후․왕비․공주 의식에는 한 두가지 절차만 단촐하게 구성하였다. 국왕과 왕실구성원의 내적 질서를 반영하여, 장소와 절차 측면에서 朝賀禮法의 차별화를 구현하였다. 大朝가 국내 군신질서를 포함하여 국제질서까지 아우르는 朝儀라면, 常朝는 정작 정무활동에 국한된다. 상조의 조참에 대해서는 『高麗史』와 같은 책 禮志 嘉禮 ‘一月三朝儀’․ 『高麗圖經』 王府에서는 ‘5日一見’의 만남을 고려중엽 때 관행인 것이라 서술한다. 5일일현(아일조회)은 조알(배례)+조정(청정)이라는 이원화된 의식으로 구성된다. 『高麗史』 禮志에는 衙日一見이 ‘一月三朝儀’ 편명으로 하여, 배례의식 중심으로 서술한다. 아일조회 구성에서 나머지 조계(청정) 절차는 고려말 아일조회의 입회시간과 근시관의 입시여부가 논의되어 조선 태종대 계사의(조계의) 제작으로 정리되었다. 상참을 대체하여 조참만 단독으로 개최되어야 할 동안에도, 다원화된 채널로 군신간 만남을 만들어나간다. 경연은 그 일례이다. 유독 예종 인종연간 시사 시조와 결합한 경연이 거의 매일 추진된데다, 수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국왕이 머무는 공간 어디든 행해지던 군신간 공론의 장도 활성화되었다. 時空의 제약없이 국왕을 면대할 수 있는 관인층은 면계(직계)의 적용 대상자일 것이다. 이들은 참상관(6․7품) 보다 상위직인 2․3품관 이상자이다. 참석자 신분과 개최의 주기를 참작컨대, 상참은 조참과는 분명 구분된다. 상참의 시행을 뒷받침할 근거로는 관인의 사망에 예우책으로 내려진 輟朝의 ‘朝’이다. 고위관인을 예우하는 차원에서 사망시 장례금 지급과 시호의 사여, 아울러 철조가 단행된다. 원간섭과 고려말을 제외하고 『고려사』에서 철조 관련 기록의 기점과 종점은 각각 현종대부터 원종대까지로 파악된다. 이 시기는 공식적으로는 상조의 상참을 대신하여 조참만 거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아일 주기와 겹치지 않는 ‘철조의 일정’과 수혜자층을 감안하면 철조의 ‘조’는 아마도 상참일듯하다. 고려 조의 정비는 국초 대조의 3대조회와 조하가 정비되어 뼈대를 갖추고, 상조의 상참 조참이 분기하여 병렬적으로 운영되었다. 중기때 정비된 상조의 조참 상참을 별도로 운영하던 경험이 동력이 되어 조선 『경국대전』 『국조오례의』에서는 대조회 조하 상참 조참이 각각 분화하고 정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f one fully accepts Goryeodogyeong, Yeji Garye in Goryeosa, and the Kwon Geun’s public appeal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in the Joseon Dynasty, it could be misunderstood that Sangjo was performed only by Jocham in the Goryeo Dynasty. Restructuring other records scattered in Goryeosa confirms the various types of political affairs that were different from Jocham. The royal rituals compiled in Goryeosa consisted of the Daejoheo and Joha of Daejo, and Jocham of Sangjo. In light of the Kwon Geun’s appeals or the OilIlhyun in GeondeokJeonjo, Koryodokyung, the Goryeo’s Jocham can be traced back to the mid-Goryeo period. Sangcham of Sanjo is not included in Yeji. In OilIlhyun(Ailjohoe, jocham), Jogye(reporting and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except for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rites, is common to the Sangcham’s one. The Goryeo’s royal ritual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way that there were the triple composition of Daejoheo, Jocham, and Sangcham, and the independent Joha rite according to Gukjooryeui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Ilwolsamjohoe of Sangjo which would be reorganized later as Jocham had appeared since the reign of Kings Hyeonjong and Deokjong. Eventually, it was organized into the same Yugail a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the reign of Kings Woo and Gongyang. Jocham of Sangjo held every 3-5 days without specifying the date had been regularized after the mid-Goryeo Dynasty, and then briefly come to a lull in the Yuan’s intervention period. Yugailjohoe(Jocham) was determined in the reign of King Gongyang, right after discussing its concept and cycle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Ilwolsamjohoe had a shorter face-to-face interval with a king than Daejoheo that was held once or twice a year, and the former attendees were also relatively higher-ranking officials than the latter. As for Chuljo that suspends the schedule for 1-3 days when an unpredictable misfortune occurs to a government official, those honored by it were a few close allies with a higher class than the attendees at Jocham, hence it is almost certain that Jocham and Sangcham were operated separately in the Goryeo Dynasty. In Goryeosa, the articles of Chuljo can be confirmed only during the period from King Hyeonjong to King Gojong. This suggests that Jocham was not held separately as Sangcham was substituted for Goryeo’s royal rites, but they coexisted and oper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大朝의 구성과 정비
Ⅲ. 常朝의 朝參․常參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정(Jeong Eun Jeong). (2021).고려 朝儀 구성과 정비. 역사문화연구, 80 , 31-62

MLA

정은정(Jeong Eun Jeong). "고려 朝儀 구성과 정비." 역사문화연구, 80.(2021): 3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