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 ’의 조우에 대한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Study on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hristian Education:Learning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원신애(Shine Ae Won)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29집, 293~31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Toy Story)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소위 뉴 미디어 시대-디지털 미디어 문화,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제 4세대 통신 스마트폰 문화시대-를 직면하고 있다. 인류 문명은 문자의 발명으로부터 시작해서 근대를 거쳐 인쇄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지식은 위력을 갖추고 과학이란 도구와 함께 산업혁명은 시작되었다. 21세기는 컴퓨터의 시대로서 정보기술 혹은 정보혁명과 더불어 인간의 삶과 문화 양식 전체가 변화되고 있다.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인간의 모습과 인간지식은 새로운 이미지(image)를 입고 재생되고 있다. 이미지는 단지 시각적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존재하는 사회나 문화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미지의 작동은 연속적인 인간문화의 산물이며, 이미지와 이미지 언어는 다양한 분야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 영상문화 시대를 시각적 이미지의 강조와 확산으로 본다면, 시각적 이미지가 우리 생활양식과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첫째로 포스트모던 영상 미디어 문화 읽기의 중요성과 문화 인지적 구성주의를 검토하겠다. 둘째, 포스트모던 영상 미디어 문화 읽기를 통하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이해를 살펴보겠다. 셋째,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 미디어 문화 읽기와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ill demonstrate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ading the animation, Toy Story. Nowadays, we are faced with the New Media Era which includes digital media, the Internet, SNS, and Smart-phones such as the 4G LTE(4 Generation Long Term Evolution). I believe that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s related to how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and interpret many media productions such as movies, animation, and so on. First, this paper will suggest the significance of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Secondly, it is my contention that we explore and understand human beings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the feelings of loss, denial, negotiation and acceptance learnt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Toy Story trilogy will be my main example since many children around the world have watched and grow up with this animation and have felt various emotions from compassion to conflict over the last 15 years of the Toy Story production. Through Toy story, I examine the assumptions of the cultural interactions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theories. Thirdly, this paper is an attempt for finding th possibility of encountering postmodern media literacy with Christian education. In this paper, I think that storytelling in Christian education, the Bible as well as ‘cultural contents’ of the media era is not only the old way of teaching but also a way of the origin of digital cultural society. In this sense, Christian educators must learn how to deal with the media b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imagina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In the New Media era, it is necessary that Christian educators have to learn how to utilize media literacy due to postmodern perspective. Hopefully, this paper proposes the task of Christian educators for the postmodern media literacy in using digital media productions such as anim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포스트모던 시대와 영상 미디어 시대
Ⅲ. 문화 인지와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의 스토리텔링 거꾸로 읽기
Ⅳ.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신애(Shine Ae Won). (2012).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 ’의 조우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29 , 293-319

MLA

원신애(Shine Ae Won).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 ’의 조우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29.(2012): 293-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