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당극의 의사소통성을 통한 교회와 타자간의 공적 담화

이용수 0

영문명
Public Dialogue Between the Church and the Other Through the Communicability of MADANGG?K:Toward a Dialogical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미경(Mikyung Lee)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13집,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적 담화의 장소로서 ‘마당’이 제안되었다. 모두에게 가서 제자 삼고 가르쳐 지키게 할 임무를 띤 신앙공동체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면 어디든지 누구에게든 가야 한다. 그것은 거리, 공원, 시장, 광장 같은 공적 장소, 즉 모든 ‘마당’까지를 말한다. 그리고 타자와의 대화적 만남의 기제로서는 ‘마당극’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사실상 만남, 관계 그리고 대화는 ‘의사소통적 행위’ 없이는 불가능하다. 또한 그 의사소통이 일방통행적이고 독단적이며 독백주의적일 때는 진정한 대화가 발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쌍방통행적인 의사소통에 기반을 둔 대안적인 공적 담화의 모델로 세 가지, 즉 성육신적, 비판적, 축제적 공적 담화를 제안하였으며, 이 모델들의 원리에 근거하여 대화적 공동체 제구성하기 및 마당 퍼블릭 다이얼로그의 절차들을 마련해 보았다. 마당극이라는 기제를 통한 공적 담화는 첫째로, 타자의 다른 목소리들을 수용하는 성육신적 관계를 형성하고, 둘째로, 청중의 비판적 능력을 개발시키며, 그리고 셋째로는 마당 축제적인 개방성과 놀이성 및 공적 공간을 회복함을 통해서 교회와 사회,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들 간에 대화적인 의사소통을 이루도록 공헌할 것이다. 희망하는 바로는, 공적 담화의 모델들과 이를 근거로 구성된 대화적 교육 패러다임이 교회와 타자 사이를 독백에서 대화의 관계로 변화시키고, 대화적 존재와 대화적 공동체로 전환하는 데 공헌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화적 과정을 통해서 교회는 비로소 정체성 위기와 관계성 위기라는 이중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need for public dialogue between the church and the other. The theme of this study, “public dialogue” is a response to binary opposition or dichotomy, that is, the separation of faith and praxis, knowing and doing, church and society, and private sphere and public sphere, Christian and non­Christian, text and context, educator and learner. Present religion is characterized by privatization and does not provide an answer to the culture of separation in today’s society. Consequently, the ghettoized church behind the wall is confronted by a dual crisis an internal crisis of identity and an external crisis of relevance. Therefore, to shape a dialogical relationship through public dialogue is an essential task of the public church, the so­called “go­to­all” church. To execute “public dialogue” as the commission to the “go­to­all” three actions are necessary:(1) going outside the wall of the church, (2) entering into dialogue with the “all,” and (3) making disciples, baptizing, and teaching the all. How will the church dialogue with the other? In view of these three actions, this study researches three main elements of public dialogue (1) preparing a place for public dialogue, (2) exploring a medium for public dialogue, (3) formulating a new communicative pattern for public dialogue. In order to achieve these elements of public dialogue, this study concerns an art­cultural pattern of public dialogue, particularly madangg?k. Madangg?k is a compound noun:madang (outdoor area) + g?k (theatre). Madangg?k contains the three elements for public dialogue (1) “madang” as a place for public dialogue;(2) “a mode of theater” as a medium for public dialogue, and (3) the “communicability” peculiar to the madangg?k. Madangg?k showed the four characteristics of mutual communication which are essential in formulating an alternative pattern of public dialogue:(1) rediscovery of the audience, (2) re­creation of traditional culture founded on festivity and a communal spirit, (3) their own stories and reality­reading/criticism, and (4) activity outside the theatrical world in order to meet the audience. However, madangg?k had the limitation of a binary opposition of social­directivity and artistic­directivity, tending toward a social drama. Therefore, an alternative form of public dialogue to overcome this binary opposition is required. As an alternative with the purpose of shifting from monologism to dialogism, this study suggests so­called “Trinity Madang Public Dialogue,” i.e. three models of madang public dialogue , , and . The first model, Incarnational Public Dialogue, explores how to accept the other and the difference under the principles of otherness, unfinalizability and polyphony, proposing the culture of participative dialogue. The second model, Critical Public Dialogue, explores practical strategies for recognizing and criticizing the distorte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of monologism, and for developing the audience’s competencies of understanding and criticism without merging into an authorial single voice, proposing the culture of criticism and transformation. The third model, Festival Public Dialogue, is suggested as a time­space for fulfilling both incarnational and critical principles and for the harmony of a rational and a sensuous nature, proposing the culture of laughter, play and the imagination. The principles of the three models should be fully realized in the Christian community before performing dialogical madang-performance for public dialogue. When the Christian community preparing for this type of public dialogue is transformed into a “dialogical” community, it will promote madang public dialogue with the audience. The core of madang public dialogue lies in the formation of a dialogical relationship and a dialogical community, rather than in the performance i

목차

1. 공적 담화(Public Dialogue)의 필요성과 연구 방향
2. 왜 live theater 인가?
3. 공적 담화의 실천으로서의 마당극
4. 마당 퍼블릭 다이얼로그13)의 대안적인 세 가지 모델
5. 대화 공동체의 구성과 마당 퍼블릭 다이얼로그의 실현
6. 대화적 기독교교육 패러다임을 향하여
7.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경(Mikyung Lee). (2006).마당극의 의사소통성을 통한 교회와 타자간의 공적 담화. 기독교교육 논총, 13 , 1-24

MLA

이미경(Mikyung Lee). "마당극의 의사소통성을 통한 교회와 타자간의 공적 담화." 기독교교육 논총, 13.(2006):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