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자기개념 명확성과 생활사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이용수 638
- 영문명
- Parent education collective counselin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lf-Concept Clarification and Life Event Stres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태경(Tae-Kyonng PAR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4호, 291~30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자기개념 명확성과 생활사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시에 위치한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에서 실험참가에 지원한 16명을 대상으로 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1회 120분 동안 4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결 된 4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집단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를 위하여 비모수 통계 방법 Mann - Whitney U 검증과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부모의 자기개념 명확성 향상과 생활사건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교육이 단기간의 효과가 아닌 자기인식을 바탕으로한 집단상담으로 진행되었을 때 효과의 지속성 부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parents education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parents to find out the effect on self-concept clarity and the stress of living events. To this end,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located in K-si placed eight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for 16 people who applied fo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four sessions of the program for 120 minutes once a week, and conducted a later test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control group did not implement the program.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is study, and for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of experiments and controls,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Mann-Whitney Upt and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al education group counsel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arents self-concept clarity and reducing the stress of overliving event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that parental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sistence of the effect when it is conducted as a collective counsel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rather than short-term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평가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 한국 노인복지법 변화와 특징에 관한 연구
- 팬데믹 상황(COVID-19)에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에 대한 내담자 경험 연구
- 사회문화 변형화를 위한 기독교교육
-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자살 사고로 상실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자기개념 명확성과 생활사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자녀의 학교폭력 가해 사건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연구
- 상황적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긍정적 정서 클러스터 수준차이와 클러스터 형성에 대한 연구
-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평생교육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관계
- 장애인복지관 내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장애아동 부모교육 음악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남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들의 이혼 후 자립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생의 성취가치, 자기효능감, 그릿 및 학업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권력동기와 행동 간의 관계
-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여가만족,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의 우울감과 대학기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수용과 조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